![](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20/20191220090124585527.jpg)
[사진=연합뉴스]
55년 업력의 제주칸트리구락부(제주CC)는 제주 1호 골프장으로 1966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지시로 지어진 18홀 회원제 골프장이다. 역사와 전통을 보유한 코스로 오랜 벗들(회원)과 함께 호흡했다. 골프장 초입에 서 있는 ‘제주칸트리구락부’ 표지석은 한결같이 그들을 반겼다.
그러나, 제주CC가 중소 부동산개발 전문 업체에 매각을 앞두고 있다. 2013년 부도 이후 두 번의 회생절차를 밟았다. 시간은 지났지만, 경영난은 나아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제주의 ‘개소세 폐지’와 ‘무분별한 골프장 난립’에 있었다.
제주는 국내외 골프관광객 유치를 위해 2002년부터 2015년까지 개소세를 100% 인하했다. 하지만, 타지역의 반발이 심했다. 그 결과 2016년에서 2017년까지 75% 인하를 거쳐, 2018년부터는 이마저도 결국 폐지됐다.
급증한 제주의 골프장 수도 한몫했다. 2002년 9곳에서 30곳으로 증가했다. 난립은 결국 과도한 경쟁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제주CC와 같이 오래된 명문 코스들의 명분과 입지가 점점 줄었다.
이건 비단 제주만의 문제가 아니다. 시작일뿐이다. 정책에 문제점이 발견됐다.
3가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대중제에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대중제 전환 시 그린피(상한선)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혹은, 정확한 할인(카트비 무료 등)이 필요하다. 제제가 없다면 ‘회원제’만 죽어난다.
두 번째는 골프장 난립이다. 멈춰야 한다. 제주 골프장 입장객이 총 26만 명이 줄었다. 그에 반해, 골프장 수는 약 3.5배 늘었다. 과열 경쟁을 유도한 것은 결국 지자체다.
세 번째는 개소세에 있다. 관광특구인 제주는 개소세를 풀어야 한다. 해외 관광객을 불러오려면 절대적인 그린피 인하가 필요하다. 바다 건너 중국은 골프를 즐기는 비용이 국내보다 평균적으로 60~70% 정도 싸다. 일본은 노캐디 시스템이 정착 중이다. 2인 플레이도 가능하다. 그린피와 카트비만 내면 된다. 외국인이 온라인으로 직접 예약도 가능하다.
당면과제와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한 가득이다. 그러나, 도 관계자는 “경기 침체와 난립으로 인한 과열 경쟁 등으로 골프장이 문을 닫는 등 전반적으로 제주골프산업이 침체해 있다”면서 “이번 개소세 감면으로 제주 골프장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관계자는 “대중제 전환도 쉽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책의 역행이다. 무엇 때문에 소를 잃었는가. 누가 소를 내다 팔았는가. 지켜야 할 역사를 대중제로 바꾸라고만 유도하고 있다. 세수는 줄고 시장은 무너지는 데 빈 외양간만 두들기고 있다.
‘대중제’는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개소세를 면제시켜준다. 세금도 중과세율에서 일반세율로 줄고 변칙적으로 회원도 받는다. 전환 후 오히려 그린피를 올리는 곳도 있다.
이대로라면 100년이 넘는 '회원제' 골프장은 우리에게 없다. 기와집과 초가집처럼 뒤안길로 사라지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