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용으로 사용되는 가을배추의 올해 생산량이 39년 만에 가장 적었다. 올해 중순까지 가격 부진이 이어지며 재배 면적은 감소한 데다 잦은 태풍과 비로 작황도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9년 가을배추·무, 콩, 사과, 배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가을배추 생산량은 105만9925t으로 지난해보다 24.5%(34만4225t) 줄었다. 가을배추의 재배 면적 역시 1만968㏊로 지난해(1만3313㏊)보다 17.6% 감소했다.
이는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80년 이후 역대 최저치다. 이전 최저 기록은 2002년 각각 107만9219t, 1만1293㏊였다.
10a(아르)당 생산량은 9664㎏으로 지난해(1만547㎏)보다 8.4%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작년 3년 만에 풍작을 맞은 가을배추는 올해 중순까지 가격 약세를 면치 못했고, 올해 가을배추를 심은 9월에는 잇따른 태풍과 잦은 강우로 재배 면적과 작황 모두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상품 등급의 가을배추 도매가격(2018년 11월~2019년 6월 평균)은 2017년 ㎏당 805원에서 지난해 720원, 올해 491원으로 낮아졌다. 반면 올해 가을배추가 출하한 11월에는 ㎏당 가격은 작년 747원에서 올해 967원으로 올랐다.
올해 가을무 생산량 역시 40만4804t으로 작년(46만7104t)보다 13.3% 줄었다. 재배 면적은 5344㏊로 작년(6095㏊)보다 12.3% 감소했다. 10a당 생산량은 7575㎏으로 전년(7663㎏)보다 1.1% 하락했다.
작년 흉작을 맞았던 사과 생산량은 올해 53만5324t로 12.6% 늘어났다. 재배 면적과 10a당 생산량은 각각 2만3911㏊, 2239㎏로 작년보다 1.3%, 11.2% 증가했다.
배 생산량은 20만732t으로 1년 전(20만3166t)보다 1.2% 줄었다. 재배 면적은 9074㏊로 전년(9683㏊)보다 6.3% 감소했지만, 10a당 생산량은 2212㎏으로 전년(2098㎏)보다 5.4%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7~8월 이상 고온으로 덥고 가물어 사과 생산량이 급감했지만, 올해는 평균 수준으로 회복됐다"며 "재배면적이 계속 줄어가는 추세인 배의 경우 올해 재배면적 감소량에 비해 면적당 생산량은 늘어나 총생산량이 소폭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콩 생산량(10만5340t)은 작년보다 17.8% 증가했다. 재배면적(5만8537㏊)과 10a당 생산량(180㎏)은 각각 15.6%, 1.9% 늘었다. 정부의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으로 콩 재배면적이 늘어났고, 생육기 기상 상황도 양호해 생산량이 증가했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9년 가을배추·무, 콩, 사과, 배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가을배추 생산량은 105만9925t으로 지난해보다 24.5%(34만4225t) 줄었다. 가을배추의 재배 면적 역시 1만968㏊로 지난해(1만3313㏊)보다 17.6% 감소했다.
이는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80년 이후 역대 최저치다. 이전 최저 기록은 2002년 각각 107만9219t, 1만1293㏊였다.
10a(아르)당 생산량은 9664㎏으로 지난해(1만547㎏)보다 8.4% 감소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상품 등급의 가을배추 도매가격(2018년 11월~2019년 6월 평균)은 2017년 ㎏당 805원에서 지난해 720원, 올해 491원으로 낮아졌다. 반면 올해 가을배추가 출하한 11월에는 ㎏당 가격은 작년 747원에서 올해 967원으로 올랐다.
올해 가을무 생산량 역시 40만4804t으로 작년(46만7104t)보다 13.3% 줄었다. 재배 면적은 5344㏊로 작년(6095㏊)보다 12.3% 감소했다. 10a당 생산량은 7575㎏으로 전년(7663㎏)보다 1.1% 하락했다.
작년 흉작을 맞았던 사과 생산량은 올해 53만5324t로 12.6% 늘어났다. 재배 면적과 10a당 생산량은 각각 2만3911㏊, 2239㎏로 작년보다 1.3%, 11.2% 증가했다.
배 생산량은 20만732t으로 1년 전(20만3166t)보다 1.2% 줄었다. 재배 면적은 9074㏊로 전년(9683㏊)보다 6.3% 감소했지만, 10a당 생산량은 2212㎏으로 전년(2098㎏)보다 5.4%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7~8월 이상 고온으로 덥고 가물어 사과 생산량이 급감했지만, 올해는 평균 수준으로 회복됐다"며 "재배면적이 계속 줄어가는 추세인 배의 경우 올해 재배면적 감소량에 비해 면적당 생산량은 늘어나 총생산량이 소폭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콩 생산량(10만5340t)은 작년보다 17.8% 증가했다. 재배면적(5만8537㏊)과 10a당 생산량(180㎏)은 각각 15.6%, 1.9% 늘었다. 정부의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으로 콩 재배면적이 늘어났고, 생육기 기상 상황도 양호해 생산량이 증가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23/20191223131955955334.jpg)
연도별 가을배추·무, 콩, 사과, 배 생산량 추이. [자료=통계청]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