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할론을 주목하라."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북·미 대화가 중단되고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최근 상황은 양국은 물론 북한에도 결코 이롭지 않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 30분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모처럼 얻은 기회가 결실로 이어지도록 더욱 긴밀히 협력해가길 희망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한·중 정상회담은 애초 예정된 시간을 25분가량 넘겨 총 55분간 진행됐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이 공식 대좌한 것은 지난 6월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적극적 역할론'을 당부한 것은 중국을 지렛대로 활용, 북·미 대화의 모멘텀을 끌고 나가겠다는 의지로 분석된다. 그간 한반도 비핵화 국면에서 패싱 당했던 중국도 북·중·러 밀착을 통해 '6자 회담'을 주장하고 있다.
북·미 비핵화 국면에서 존재감을 과시한 중국이 비핵화의 '연말 시한'의 유예를 고리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설득할 경우 제3차 핵담판은 새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2017년 '화염과 분노'로 지칭되는 최대 압박 구도로의 회귀를 막을 수 있다는 얘기다.
문 대통령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국 배치를 둘러싼 갈등 이후 파국으로 치달았던 양국 관계의 복원도 시도했다.
문 대통령은 "잠시 서로 섭섭할 수는 있지만 양국의 관계는 결코 멀어질 수 없는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며 "한·중은 공동 번영할 수 있는 천시와 지리를 갖췄으니 인화만 더해진다면 함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다"고 부연했다.
시 주석의 조속한 방한에 대한 기대감도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여러 번 중국에 왔는데 올 때마다 상전벽해와 같은 중국의 발전상에 놀란다"고 치켜세운 뒤 "내년 가까운 시일 내에 주석님을 서울에서 다시 뵙게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이날 통화에서 "사드 배치로 훼손된 한·중 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복원해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정착, 양국 간 교류협력 증진으로 나아가자는 의지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의 메시지도 한·중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 방점을 찍었다. 시 주석은 "우리는 줄곧 긴밀하게 협력을 해 온 친구이자 파트너"라며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발전시키고 공동된 이익을 수호하고 넓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한은 지역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촉진하고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체제를 수호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넓은 공감대가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발(發) 경제 보복 국면에서 자유무역주의 등 다자주의에 힘을 실은 것이다.
다만 적잖은 과제도 남겼다. 문 대통령은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와 '한국의 신(新)남방·신북방정책'의 연계를 언급, "제3국에 공동 진출해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협력 사업들이 조속히 실행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구상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충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준형 국립외교원 원장은 "(양자가) 포용적으로 결합하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거리핵전력(INF) 조약 폐기에 따른 미국의 중·단거리 미사일 동아시아 배치 문제도 뇌관으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 후 쓰촨(四川)성 청두(成都)로 이동,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회담·만찬을 하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투자 후속 협상 등을 협의했다. 문 대통령은 24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양자 회담 등이 예정돼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 30분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모처럼 얻은 기회가 결실로 이어지도록 더욱 긴밀히 협력해가길 희망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한·중 정상회담은 애초 예정된 시간을 25분가량 넘겨 총 55분간 진행됐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이 공식 대좌한 것은 지난 6월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적극적 역할론'을 당부한 것은 중국을 지렛대로 활용, 북·미 대화의 모멘텀을 끌고 나가겠다는 의지로 분석된다. 그간 한반도 비핵화 국면에서 패싱 당했던 중국도 북·중·러 밀착을 통해 '6자 회담'을 주장하고 있다.
북·미 비핵화 국면에서 존재감을 과시한 중국이 비핵화의 '연말 시한'의 유예를 고리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설득할 경우 제3차 핵담판은 새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2017년 '화염과 분노'로 지칭되는 최대 압박 구도로의 회귀를 막을 수 있다는 얘기다.
문 대통령은 "잠시 서로 섭섭할 수는 있지만 양국의 관계는 결코 멀어질 수 없는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며 "한·중은 공동 번영할 수 있는 천시와 지리를 갖췄으니 인화만 더해진다면 함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다"고 부연했다.
시 주석의 조속한 방한에 대한 기대감도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여러 번 중국에 왔는데 올 때마다 상전벽해와 같은 중국의 발전상에 놀란다"고 치켜세운 뒤 "내년 가까운 시일 내에 주석님을 서울에서 다시 뵙게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이날 통화에서 "사드 배치로 훼손된 한·중 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복원해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정착, 양국 간 교류협력 증진으로 나아가자는 의지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의 메시지도 한·중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 방점을 찍었다. 시 주석은 "우리는 줄곧 긴밀하게 협력을 해 온 친구이자 파트너"라며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발전시키고 공동된 이익을 수호하고 넓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한은 지역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촉진하고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체제를 수호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넓은 공감대가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발(發) 경제 보복 국면에서 자유무역주의 등 다자주의에 힘을 실은 것이다.
다만 적잖은 과제도 남겼다. 문 대통령은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와 '한국의 신(新)남방·신북방정책'의 연계를 언급, "제3국에 공동 진출해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협력 사업들이 조속히 실행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구상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충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준형 국립외교원 원장은 "(양자가) 포용적으로 결합하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거리핵전력(INF) 조약 폐기에 따른 미국의 중·단거리 미사일 동아시아 배치 문제도 뇌관으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 후 쓰촨(四川)성 청두(成都)로 이동,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회담·만찬을 하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투자 후속 협상 등을 협의했다. 문 대통령은 24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양자 회담 등이 예정돼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