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기영 장관이 27일 서울에서 중국 과학기술부 왕즈강(Wang Zhi-gang) 부장과 양국 대표단 50여명이 제14차 한·중 과학기술공동위원회(이하 과기공동위)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중 과기공동위는 1992년 체결된 ‘한·중 과학기술협력협정’에 근거해 추진돼 온 양국 간 대표적인 과학기술 협력채널이다. 2016년 제13차 회의 이후 3년여 만에 열렸다.
이번 과기공동위에서 한‧중 양국은 바이오, 장애극복, 차세대 탄소자원화 등 양국의 핵심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양국 과학자들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인력교류 프로그램 과 공동연구 분야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국은 바이오 경제시대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뇌지도 작성, 전통의학 고도화 연구, 첨단 바이오 의약품 기술개발 등 바이오 기술개발 분야의 협력을 추진하기로 협의하고, 장애극복, 차세대 탄소자원화 기술개발 등의 분야에서도 학술교류, 공동연구, 인력교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양국은 내년 한·중 산학연 실용화 공동연구 지원분야로 바이오(BT), 정보통신(ICT) 2개 분야를 확정하고 바이오, 정보통신, 신재생에너지, 의료과학, 우주, 기후변화 분야에서 6개의 일반 협력 공동연구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한‧중 과기공동위와 같은 기간에 양국의 학계, 연구기관 등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제7차 한중 과학기술혁신포럼’이 열렸다.
이번에 개최된 한‧중 과학기술혁신포럼은 ‘글로벌 과학기술정책(STI) 프론티어로의 도약을 위한 한·중 과학기술 협력’을 주제로, 바이오와 AI 등 관련 분야의 양국 전문가들이 모여 주요 이슈에 대한 양국 간 협력분야를 논의했다.
최 장관은 “한‧중 과기공동위가 양국 정부와 관련기관, 민간 등을 모두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며 “한중 과학기술혁신포럼이 인류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인 고령화, 질병, 디지털 전환 등과 같은 이슈를 해결하고, 미래의 일자리 창출, 경제성장을 이끄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중 과기공동위는 1992년 체결된 ‘한·중 과학기술협력협정’에 근거해 추진돼 온 양국 간 대표적인 과학기술 협력채널이다. 2016년 제13차 회의 이후 3년여 만에 열렸다.
이번 과기공동위에서 한‧중 양국은 바이오, 장애극복, 차세대 탄소자원화 등 양국의 핵심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양국 과학자들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인력교류 프로그램 과 공동연구 분야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국은 내년 한·중 산학연 실용화 공동연구 지원분야로 바이오(BT), 정보통신(ICT) 2개 분야를 확정하고 바이오, 정보통신, 신재생에너지, 의료과학, 우주, 기후변화 분야에서 6개의 일반 협력 공동연구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한‧중 과기공동위와 같은 기간에 양국의 학계, 연구기관 등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제7차 한중 과학기술혁신포럼’이 열렸다.
이번에 개최된 한‧중 과학기술혁신포럼은 ‘글로벌 과학기술정책(STI) 프론티어로의 도약을 위한 한·중 과학기술 협력’을 주제로, 바이오와 AI 등 관련 분야의 양국 전문가들이 모여 주요 이슈에 대한 양국 간 협력분야를 논의했다.
최 장관은 “한‧중 과기공동위가 양국 정부와 관련기관, 민간 등을 모두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며 “한중 과학기술혁신포럼이 인류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인 고령화, 질병, 디지털 전환 등과 같은 이슈를 해결하고, 미래의 일자리 창출, 경제성장을 이끄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27/20191227083553700417.jpg)
지난 26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4차 한·중·일 과학기술장관회의'에서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