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국내 한 언론은 지난 26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미국 협상팀이 전략을 바꿔 방위비 분담금 인상률을 10~20% 수준으로 합의하고 대신 미국산 무기 구매 확대 등의 절충안을 찾기로 했다면서 내년 방위비 분담금은 10억달러 수준이 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2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 관계자는 최근 한국 언론에 언급된 '10∼20%'라는 수치는 협상에서 논의돼오지 않았으며 근거 없는 추측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연합뉴스 서면질의를 통해 방위 조약상의 의무 충족을 위한 '막대한 비용'을 재차 언급하면서 "우리의 전 세계적인 군사적 주둔 비용을 지탱하는 것은 미국 납세자들이 혼자서 책임져야 할 부담이 아니라 우리의 주둔으로 인해 득을 보는 동맹 및 파트너들이 공평하게 분담해야 하는 책임"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미 동맹은 강력하며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해 필수적"이라며 "미국은 이른 1월(in early January)에 있을 다음 협상 차를 고대하고 있으며, 굳건한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유지해줄, 양국에 모두 공정하고 공평한 SMA 협상 결과를 추구한다"고 강조했다.
국무부의 이날 언급은 그간 트럼프 행정부가 되풀이해온 내용과 흡사하다. 다만 '한국이 한미동맹에 제공하는 상당한 자원'이라는 기존 표현이 '한국이 한미동맹에 제공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상당한 자원'이라는 단어는 빠졌다.
블룸버그 통신도 전날 트럼프 행정부가 '10∼20% 인상' 관련 보도를 전면 부인했다고 보도하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다른 동맹국에 대해서도 분담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의 대화는 미군이 주둔하는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한미 협상팀은 지난 17∼18일 서울에서 11차 SMA 협상 5차 회의를 열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방위비 분담금 협상은 해를 넘기게 됐다. 다음 회의는 내년 1월 미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29/20191229105340632246.jpg)
[그래픽=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