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들어 D램 현물거래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D램은 양사 반도체 사업의 핵심 캐시카우다.
30일 반도체 시장조사업체인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램 현물거래가격은 지난 5일 2.73달러(DDR4 8Gb 기준)로 바닥을 찍은 뒤 이날 3.0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올 초부터 줄곧 하락세를 면치 못했지만, 이달 들어 10% 넘게 상승하며 본격적인 반등세에 진입한 것이다.
현물거래가격은 월말 기준으로 설정되는 고정거래가격(계약가)의 선행 지표로 여겨지는 만큼, 반도체 업계에서는 시장 회복에 대한 신호탄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달 말 D램 고정거래가격은 현물거래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10월과 같은 2.81달러로 보합세를 유지했다. 업계에서는 현물거래가격이 상승한 후 고정거래가격이 상승하는 만큼 12월 고정거래가격은 3달러 선을 회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D램 고정거래가격은 지난해 9월 8.19달러로 최고점을 찍은 뒤 줄곧 하락해 10~11월 2.81달러를 기록했다. 최고점 대비 65.69%나 감소한 것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내년 1분기부터는 신규 데이터센터 투자가 서버용 D램 수요 증가를 견인해 가격이 본격 반등하고, 5세대(5G) 이동통신 확대로 모바일 D램 가격 하락폭도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내년 1분기에는 메모리 반도체의 한 종류인 그래픽 D램의 고정거래가격도 전분기 대비 5%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래픽 D램은 PC와 고성능 게임기에서 영상과 그래픽 처리 등을 담당하는 고사양 메모리 반도체다.
또 다른 주력 제품인 낸드플래시의 반등세도 긍정적이다. 128Gb MLC 낸드플래시 가격은 지난 7월 반등에 성공한 이후 현재까지 4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미·중 무역분쟁을 둘러싼 대립 국면도 완화하는 분위기라, 반도체 업황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내 증권사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과 목표주가를 잇달아 상향조정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7만원으로 대폭 상향했으며, 내년 영업이익 전망도 38조8000억원으로 눈높이를 확 올렸다. 한국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20% 상향한 12만원을 제시하고, 내년 영업이익으로 7조9000억원을 예상했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020년 1분기부터 서버용 D램 가격 반등이 시작될 것"이라며 "서버용 D램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동시에 모바일용 D램 가격도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30일 반도체 시장조사업체인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램 현물거래가격은 지난 5일 2.73달러(DDR4 8Gb 기준)로 바닥을 찍은 뒤 이날 3.0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올 초부터 줄곧 하락세를 면치 못했지만, 이달 들어 10% 넘게 상승하며 본격적인 반등세에 진입한 것이다.
현물거래가격은 월말 기준으로 설정되는 고정거래가격(계약가)의 선행 지표로 여겨지는 만큼, 반도체 업계에서는 시장 회복에 대한 신호탄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달 말 D램 고정거래가격은 현물거래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10월과 같은 2.81달러로 보합세를 유지했다. 업계에서는 현물거래가격이 상승한 후 고정거래가격이 상승하는 만큼 12월 고정거래가격은 3달러 선을 회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D램 고정거래가격은 지난해 9월 8.19달러로 최고점을 찍은 뒤 줄곧 하락해 10~11월 2.81달러를 기록했다. 최고점 대비 65.69%나 감소한 것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내년 1분기부터는 신규 데이터센터 투자가 서버용 D램 수요 증가를 견인해 가격이 본격 반등하고, 5세대(5G) 이동통신 확대로 모바일 D램 가격 하락폭도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내년 1분기에는 메모리 반도체의 한 종류인 그래픽 D램의 고정거래가격도 전분기 대비 5%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래픽 D램은 PC와 고성능 게임기에서 영상과 그래픽 처리 등을 담당하는 고사양 메모리 반도체다.
또 다른 주력 제품인 낸드플래시의 반등세도 긍정적이다. 128Gb MLC 낸드플래시 가격은 지난 7월 반등에 성공한 이후 현재까지 4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미·중 무역분쟁을 둘러싼 대립 국면도 완화하는 분위기라, 반도체 업황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내 증권사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과 목표주가를 잇달아 상향조정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7만원으로 대폭 상향했으며, 내년 영업이익 전망도 38조8000억원으로 눈높이를 확 올렸다. 한국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20% 상향한 12만원을 제시하고, 내년 영업이익으로 7조9000억원을 예상했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020년 1분기부터 서버용 D램 가격 반등이 시작될 것"이라며 "서버용 D램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동시에 모바일용 D램 가격도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30/20191230182321962039.jpg)
지난 10월 서울 서초 삼성전자 사옥 딜라이트 홍보관에 웨이퍼 등 반도체 관련 전시물이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