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형 국립외교원장이 교착 상태에 빠진 북·미 대화가 재개된다면 2, 3월에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 원장은 2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새해 국정운영 구상을 담은 노동당 제7기 5차 전원회의 보고를 분석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원장은 우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개인적인 비난이 전혀 없었다는 부분과 미국 입장에 따라 상황 조절을 할 수 있다는 부분 등을 보면 대화의 판은 깨지지 않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전원회의 보고 내용 중 '혁명의 최후 승리를 위해서 위대한 우리 인민을 잘 살게 하기 위하여 우리 당은 또 다시 간고하고도 장구한 투쟁을 결심했다'라는 대목이 '핵·경제 병진 노선' 회귀 가능성을 내비친 것 아니냐는 분석에 대해 김 원장은 "그 부분에 대해 저는 생각이 조금 다르다"며 "그대로 아직 경제노선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이 부분에 각오를 밝히는 데 훨씬 방점이 찍혀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이 이번에 도발하지 않고 일단 살아있는 (대화) 판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2~3개월 정도의 시간은 벌었지만 사실상 이것을 (미국 대통령) 선거 때까지 그대로 현상 유지하는 것은 (이는) 오판일 가능성이 있다"고 잘라 말했다.
김 원장은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결단할 부분"이라면서 "2∼3월까지 북한에 적극적으로 무엇인가를 제시하든지, 그렇지 않는다면 2017년 상황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김 원장은 북·미대화가 이뤄질 경우 2, 3월에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아울러 "남은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우리(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김 원장은 '새로운 전략무기를 목격하게 될 것'이라는 대목에 대해서는 "당연히 압박성 발언"이라면서 "지난번 엔진 능력 증대 실험과 관계가 있는 그런 전략무기가 아닐까 생각된다"고 판단했다.
'새로운 전략무기'와 관련, 김 원장은 구체적으로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다탄두 ICBM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3가지를 꼽았다.
김 원장은 2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새해 국정운영 구상을 담은 노동당 제7기 5차 전원회의 보고를 분석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원장은 우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개인적인 비난이 전혀 없었다는 부분과 미국 입장에 따라 상황 조절을 할 수 있다는 부분 등을 보면 대화의 판은 깨지지 않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전원회의 보고 내용 중 '혁명의 최후 승리를 위해서 위대한 우리 인민을 잘 살게 하기 위하여 우리 당은 또 다시 간고하고도 장구한 투쟁을 결심했다'라는 대목이 '핵·경제 병진 노선' 회귀 가능성을 내비친 것 아니냐는 분석에 대해 김 원장은 "그 부분에 대해 저는 생각이 조금 다르다"며 "그대로 아직 경제노선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이 부분에 각오를 밝히는 데 훨씬 방점이 찍혀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1/02/20200102150432624475.jpg)
김준형 국립외교원장.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어 "북한이 이번에 도발하지 않고 일단 살아있는 (대화) 판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2~3개월 정도의 시간은 벌었지만 사실상 이것을 (미국 대통령) 선거 때까지 그대로 현상 유지하는 것은 (이는) 오판일 가능성이 있다"고 잘라 말했다.
김 원장은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결단할 부분"이라면서 "2∼3월까지 북한에 적극적으로 무엇인가를 제시하든지, 그렇지 않는다면 2017년 상황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김 원장은 북·미대화가 이뤄질 경우 2, 3월에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아울러 "남은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우리(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김 원장은 '새로운 전략무기를 목격하게 될 것'이라는 대목에 대해서는 "당연히 압박성 발언"이라면서 "지난번 엔진 능력 증대 실험과 관계가 있는 그런 전략무기가 아닐까 생각된다"고 판단했다.
'새로운 전략무기'와 관련, 김 원장은 구체적으로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다탄두 ICBM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3가지를 꼽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