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신형 전략무기 고도화와 다양화로 첫손에 꼽히는 것은 다탄두 재돌입 탄도 미사일(multiple reentry vehicle, MRV)과 북극성-3형을 개량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다.

[사진=연합뉴스]
다탄두 재돌입 탄도 미사일이란 탄도 미사일 1기에 여러 개 탄두를 장치한 것이다. 탄도탄 요격 미사일(anti-ballistic missile)의 발달로 탄두가 표적에 도달하기 전에 격추 당할 위험이 커지면서 하나의 미사일에 여러 개의 탄두를 장치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하나의 탄두가 격추되더라도 나머지 탄두로 공격할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이들 무기의 요격이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기존 핵우산 전략 전면 개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요점은 정당방위 차원의 핵무장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사진=연합뉴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한미동맹과 국제규범을 고려해 미국에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술핵 재배치를 카드로 사용해 미국이 거절할 경우 자체핵무장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문 센터장의 설명이다.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통한 핵우산 개편 주장도 나왔다.
손용우 한남대 국방전략대학원 교수는 "미국에 의존한 간접적인 북한 핵 억지력 수준에서 벗어나 직접억지력 확보에 나서야 한다"며 NPT 탈퇴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NPT 제10조에 의거, 핵문제로 인해 국가 생존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는 이유를 들어 (북핵 문제) 해결에 기한을 설정한 채 NPT 탈퇴를 예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김정은의 새로운 전략무기 발언에 대해 군 당국은 동요없이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며 "앞으로 미국과의 핵우산 전략 의사 결정 과정에 우리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