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이달 미국에서 열리는 한미방위비 협상에서 증액 요구를 정당화할 수 있는 비용 계획을 제시하는 것이 미국 정부의 과제라는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 분담금(1조389억원)의 5배가 넘는 50억 달러(약 5조9000억원)에 육박하는 청구서를 내밀고 대폭적인 방위비 증액을 요구한 바 있다. 이에 맞서 한국은 지난해 대비 4~8% 증액된 금액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한미 협상팀은 지난달 17∼18일 서울에서 11차 방위비분담 특별협정(SMA) 협상 5차 회의를 열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태다.
미국은 최근 협상에서 비전통적인 지출항목들을 제시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현행 SMA에서 다루는 ▲주한미군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근로자 임금 ▲미군기지 내 건설비 ▲군수 지원비 등 3가지 항목에서 신규 사항들을 신설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측 협상대표인 제임스 드하트 국무부 선임보좌관은 지난달 서울에서 진행한 기자 간담회에서 "현행 SMA 협정에 포함되지 않는 많은 비용이 있다"면서 "주둔비에는 병력의 한반도 순환배치와 적절한 훈련을 위한 비용, 장비 및 이동비용 등이다. 이 모든 것들은 한국의 극도로 높은 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WSJ는 특히 미국이 한미 연합군사훈련과 관련된 미군 부대·장비의 이동 비용에 대해서도 한국의 추가 부담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