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중학생이 공동 저자에 이름을 올린 부실 논문에 대한 조사와 검증에 나설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앞서 국내 언론들은 "국제 저명학술지에 실린 SCI급 논문에 중학생이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등 정부 출연 연구소 25곳에서 발표한 논문 중 100여편에 미성년자가 공동 저자로 이름이 올라와 있는 비상식적인 일이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미성년자가 저자로 포함된 논문에 대한 연구윤리 위반과 대학 입시 악용 가능성 검증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0월 2017~2018년 발표된 논문을 조사해 미성년자가 공동 저자로 참여한 논문 154건을 확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대부분의 논문은 R&E와 같은 통상적인 학생 참여 프로그램으로 확인됐지만, 교수가 본인 자녀를 공동 저자로 포함시키는 등 비상식적인 논문도 17건(총 10명) 확인됐다.
현재 대학과 연구기관 차원에서 비상식적인 논문에 대한 1차 조사와 검증을 진행 중이며, 관련 조사 결과는 과기정통부에 모두 제출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을 단장으로 하는 연구윤리점검단을 구성해 기관들이 제출한 조사 결과를 검토한 후 관련 규정에 따라 책임자에 대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앞서 국내 언론들은 "국제 저명학술지에 실린 SCI급 논문에 중학생이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등 정부 출연 연구소 25곳에서 발표한 논문 중 100여편에 미성년자가 공동 저자로 이름이 올라와 있는 비상식적인 일이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미성년자가 저자로 포함된 논문에 대한 연구윤리 위반과 대학 입시 악용 가능성 검증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0월 2017~2018년 발표된 논문을 조사해 미성년자가 공동 저자로 참여한 논문 154건을 확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대부분의 논문은 R&E와 같은 통상적인 학생 참여 프로그램으로 확인됐지만, 교수가 본인 자녀를 공동 저자로 포함시키는 등 비상식적인 논문도 17건(총 10명) 확인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