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대표는 8일 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1단지를 찾아 부동산 현장 간담회를 갖고 부동산 정책과 관련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간담회의 주제는 '재건축 규제 완화를 통한 공급 확대'다.
그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 "반시장적 규제", "문제를 모르니 해결이 안 된다", "벼룩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우는 격" 등의 표현을 써가며 근본적인 방향이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또 황 대표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18번이나 시행된 점을 강조하면서 "지금 쓰는 정책은 집값을 잡는 게 아니라 사람을 잡는 정책이 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주민은 "목동 신시가지 14개 단지가 2만 세대가 넘고 재건축을 하게 되면 2만 세대의 주택이 새로 생기게 된다"며 "중소 도시가 하나 생기는 셈인데, (정부는) 왜 쉬운 방법을 두고 굳이 중소도시를 새로 만들려고 하는지 모르겠다"며 한국당의 주장에 힘을 실어줬다.
황 대표는 간담회를 마친 뒤 5분가량 이 지역 아파트를 돌아보기도 했다.
반면 황 대표의 부동산 민심달래기 행보와는 달리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에서 부동산 시장의 안정을 위해 강력한 규제책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 실장은 이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부동산 시장 안정 대책과 관련해 "필요하면 앞으로도 메뉴판 위에 올라와 있는 모든 정책 수단들을 풀 가동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 센 정책도 나올 수 있는가'라는 사회자의 물음에 김 실장은 "마다할 이유가 없다"며 "이상 징후가 보이면 핀셋으로 전격적으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부동산 정책 이후 갈리는 민심의 향배를 두고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당은 지난해 정부의 3기신도시 정책으로 불만을 토로하던 일산신도시를 방문해 현장 간담회를 열고 주민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목동 방문은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 현장간담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