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해도 좋다"...영화 속 로봇, 올해부턴 우리 일상으로 '쏙'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애신 기자
입력 2020-01-10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삼성·LG전자, 일상생활 도와주는 가정용 로봇 출시 밝혀

  • -로봇 미래 기술 총 집약...글로벌 IT기업 경쟁 활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미래 산업으로 정한 로봇 분야의 결과물을 하나씩 내놓고 있다.

올해는 양사 모두 일반 대중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을 출시하며, 관련 시장의 포문을 활짝 열 예정이다.

◆삼성 CES 2019에서 '볼리' 공개...LG, 2017년부터 '클로이' 라인업 확대

삼성전자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20'에서 지능형 동반자 로봇 '볼리(Ballie)'를 공개했다. 원형이라 공처럼 이동이 자유로워 집안 곳곳을 모니터링하는 데 제격이다. 스마트폰·TV 등 주요 스마트 기기와 연동해 다양한 홈 케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열린 CES 2019에서 로봇 제품을 첫 공개했다. △실버세대의 반려로봇 역할을 할 ‘삼성봇 케어’ △공기질을 관리해 주는 ‘삼성봇 에어’ △결제·서빙 등을 해주는 ‘삼성봇 리테일’ 등 삼성봇 3종을 공개했다. 더불어 거동이 어려운 사람을 돕기 위한 웨어러블 보행 보조장치 ‘GEMS’도 선보였다.
 

삼성전자 김현석 대표가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CES 2020 기조연설'에서 지능형 로봇 '볼리(Ballie)'를 소개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지난해 로봇 여러대를 출시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상용화된 제품은 없다. 높은 가격대가 문제였다. 올해 6~7월에는 소비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가격대에서 로봇을 출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세트 부문 선행 연구개발 조직인 삼성리서치는 뉴욕 인공지능(AI) 센터에서 로봇 연구에 매진 중이다. AI와 로보틱스, 뇌 신경 과학 간의 융합 연구를 통해 우리 삶에 도움이 되는 로봇 기술을 개발 중이다.

LG전자는 지금까지 '클로이'라는 로봇 브랜드를 만들어 안내로봇, 청소로봇, 잔디깎이 로봇, 홈 로봇, 서빙로봇, 포터로봇, 쇼핑 카트 로봇, 수트봇 등 8종을 선보였다.

LG전자는 로봇을 차세대 핵심사업으로 보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2017년 6월 최고기술책임자(CTO) 산하에 로봇선행연구소와 인공지능연구소를 각각 신설, 전사 차원에서 로봇 관련 핵심 기술을 강화하고 있다.

LG전자는 산업용 로봇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B2C 로봇에 집중할 방침이다. 산업용은 수요가 일정하지 않고 빠른 성장에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권봉석 LG전자 사장은 8일(현지시간) CES 2020 현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로봇 업체들을 인수해 기반 기술을 확보한 상태"라며 "올해 하반기 구체적으로 사업에 대해 얘기하겠다"고 밝혔다.
 
◆"로봇, 기술 집약체"..."2023년 시장 규모 150억달러에 이를 것"

이처럼 국내 양대 전자업체가 로봇에 집중하는 것은 로봇은 차세대 디바이스의 '끝판왕'으로 불리기 때문이다. 로봇은 AI, 센서,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등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폭넓은 핵심 기술을 필요로 하는 융복합 산업이다.

소니와 보쉬-지멘스, 파나소닉, 하이얼 등의 글로벌 가전회사들도 로봇시장에 뛰어든 가운데 삼성·LG전자는 생활가전부터 모바일, 자동차 부품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로봇 개발에 최적화됐다는 분석이다.

LG전자의 로봇 브랜드 '클로이' [사진=LG전자 제공[

과거 로봇 개발은 제조업 환경에서 입력된대로 정확한 지시를 수행하는 데 그쳤다. 전자업계는 이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사람과 교감하고 공존하면서 인간의 삶을 더 낫게 만드는 지능형 로봇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음성인식, 자연어 처리 등의 기술과 더불어 로봇이 사용자의 목소리나 얼굴 표정 등 비언어적인 표현을 인지하는 기술 적용이 활발해지면서 가능해졌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오는 2023년 글로벌 가정용 로봇 시장의 규모는 150억 달러(약 17조3900만원)에 이를 전망이다. 2018년(54억 달러) 대비 3배 가까이 성장한 규모다.

가정용 로봇뿐 아니라 물류, 농업, 의료 등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전문 서비스 로봇시장도 성장이 예쌍된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지난해 전문 서비스 로봇시장 규모는 2017년 46억7000만 달러(약 5조41000억원)에서 올해는 56억400만 달러(약 6조5000억원)로 2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업계 관계자는 "가정용 로봇은 4차 산업혁명의 3대 핵심인 AI, 5세대 이동통신(5G), IoT를 기반으로 일상 생활의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라며 "가정용 로봇은 사람이 집 밖에서 있을 때 회사, 식당, 백화점 등의 로봇과 연결돼 상호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들이 미래사업으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