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환경부가 발표한 '2018년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상수도 보급률은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하며 99.2%를 기록했다.
농어촌 지역의 상수도 보급률도 94.8%로 0.5%포인트 상승했다. 상수도를 통한 급수 인구는 5265만명에 달했다.
2018년 말 기준 수도관 총연장은 21만7150㎞로, 1년 전보다 8116㎞ 늘었다. 설치 후 30년 이상 넘은 관로는 2만7552㎞로 전체의 12.7%를 차지했다. 특히 경북 울릉에 30년 넘은 관로 비율이 5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2018년 한 해 국내에 공급된 수돗물 총량은 66억5600만㎥였다. 하지만 상수도관 노후 등으로 연간 수돗물 총생산량의 10.8%인 7억2000만t의 수돗물이 가정이나 사무실, 식당 등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누수됐다.
2018년 생산원가를 적용하면 6581억원이 손실된 셈이다. 누수율이 가장 낮은 지방자치단체는 서울(2.4%)이었고, 가장 높은 곳은 제주(43.3%)였다.
환경부는 "제주도 지질 특성상 누수를 쉽게 관찰하기 어려워 상수도관 수리가 늦어지기도 하고 상수도 공정이 복잡한 지하수를 끌어다 쓰다 보니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수돗물 평균 생산원가는 1㎥당 914원이었고 수도요금 현실화율(생산원가 대비 수도요금)은 80.6%로 0.5%포인트 상승했다. 전국 수돗물의 평균 요금은 1㎥당 736.9원이었다.
서울 569원, 대구 686원 등으로 특·광역시는 대체로 요금이 낮았지만 강원 1011원, 전북 952원 등 경기를 제외한 시·도의 요금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환경부는 "도시지역은 농어촌 지역보다 인구 밀도, 정수장 규모 등 여건이 양호해 상수도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전국 노후 상수관로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노후관 교체·개량이 시급한 지역의 상수 관망 정비 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 수도시설 설치·개량 비용을 지원해 지역별 요금 격차도 줄이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