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10호 영입인사로 양승태 전 대법원장의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을 폭로한 이탄희 전 판사를 소개했다. 이 전 판사는 지난 2017년 법원행정처 심의관으로 재직 중 '사법부 블랙리스트'와 '국제인권법연구회 와해계획' 등 문서의 존재를 알게 된 후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 전 판사의 사직서는 반려됐지만, 이를 계기로 양 전 대법원장의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이 큰 이슈로 떠오르게 됐다. 이 전 판사는 지난 19일 영입 기자회견에서 "사법개혁 과제들이 미흡하게 처리되는 것을 보고 책임감을 느껴서 발언을 하게 됐는데, 그런 활동을 하면서 국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부분을 지적하게 됐다"고 했다.
이 전 판사는 "제게 책임이 주어졌는데 그걸 피하는 게 옳은가 라는 생각에 정치에 참여하게 됐다. 법원 개혁이 올바른 방향으로 이뤄지게 제 역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에 이 전 판사는 20일 CBS라디오에서 "기본적으로 그 분(진 전 교수)도 표현의 자유가 있다.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한다"며 "그 다음에 아마도 제가 했던 기존 행동들. 그걸 내부 고발이라고 부르든 뭐라고 부르든 간에 굉장히 가치 있는 것으로 인정해 주시는 것 같다"고 했다. 그는 "그런데 가치 있는 일을 한 사람이 그러면 가만히 있는 게 더 좋은가. 그렇게 한번 같이 고민해 보면 좋겠다"고 맞받았다.
경기 과천·의왕에 출마한다고 밝힌 장 전 보좌관은 "검찰은 사건의 핵심 권력실세들에게는 관대하고 지시에 따랐던 저와 일부 국무총리실 직원들을 처벌했다"면서 "지금 국회는 공무원의 부정부패를 방지하는 확실한 수단인 공익제보, 내부 고발 등에 관해 역량 있는 전문가가 제대로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무원의 공익제보를 제도화하고 청렴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장 전 보좌관은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총무지원팀장으로 일했고, 이후 민주연구원 객원연구위원,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정책보좌관 등을 지냈다.
고용노동부는 조사 결과 팜한통이 총 24건의 산재 은폐 사실을 적발해 1억548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하지만 이씨는 이로 인해 사측으로부터 사내전산망 접속 제한, 대기발령, 부당전보, 사무실 격리배치, 최하위 등급 인사평가, 승진 누락 등 불이익을 받았다. 이종헌씨의 경우 문재인 캠프의 공익제보지원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
최순실 국정농단의 내부고발자로 잘 알려진 노승일 전 K스포츠재단 부장은 광주에 출마한다. 그는 지난달 18일 광주 광산을에 무소속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촛불혁명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됐지만 여당에서 아직까지 적폐청산에 대한 강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두려운 싸움이지만 광장에 모였던 시민들의 외침이 무의미해지지 않도록 적폐청산을 이어가겠다"고 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내부고발자라고 해서 출마를 하면 안 되는 법은 없다"면서도 "내부고발이라는 것의 순수한 의미를 퇴색시킬 소지는 충분히 있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본인들이 잘 처신해서 본인의 공익제보를 빛을 내기 위해선 정치 말고 다른 쪽에 전념하는 게 좋지 않을까"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