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는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규제 샌드박스 시행 1년 평가와 향후 보완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지난해 1월 △규제 신속확인 △실증특례 △임시허가 등 규제 샌드박스 3종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제도 도입 후 지난해 승인된 규제 샌드박스 사례는 총 195건이다. 정부는 앞으로 연 200건 이상의 승인 사례가 나오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보완책을 발표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심사 기간도 대폭 단축했다. 모든 부처에 규제 샌드박스 전담부서를 설치해 유사하거나 동일한 사안에 대해 적용하는 ‘신속처리 제도’로 접수부터 승인까지 1개월 이내로 단축한다.
공공기관의 시제품 구매도 독려한다. 규제 샌드박스 승인제품은 혁신성 평가를 면제해 초기 수요를 공공기관이 견인한다는 방침이다.
승인 기업이 초기 사업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각종 자금·세제 지원도 확대한다. 금융 규제 샌드박스 승인기업 전용 펀드를 4년간 3000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자금·세제 등의 ‘패키지’ 지원을 한다.
정부는 “‘선(先) 적극행정, 후(後) 규제 샌드박스 원칙을 적용해 기업이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신청하면 정부 부처는 ’적극 행정‘을 펼쳐 특례 없이 현 제도 내에서 즉시 개선이 가능한지를 먼저 검토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