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U에서 고객이 마스크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사진=CU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가 각막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눈 안쪽의 점막을 통해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2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인플루엔자·사스·메르스를 예로 들며 "환자가 기침, 재채기 할 때 나오는 미세 물방울 안에 바이러스가 있어 1~2m 이내에 있는 사람들의 눈이나 코, 입을 통해 바이러스가 들어간다”며 “눈과 코, 입에 점막이 있다. 그 부분이 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붙어서 들어가 코나 입 말고도 눈 안쪽의 점막을 통해서도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눈을 바라보기만 해도 감염되냐는 질문에는 "그것은 루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지금 전파 경로가 기침과 재채기, 비말(침방울) 감염이기 때문에 손 씻기와 기침 에티켓, 마스크 착용 등이 중요하다”며 “마스크는 식약처 인증 보건 마스크 KF-80 이상을 쓰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보통 싱크대에서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30초 박박 씻어서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싱크대가 없는 상황에서 활동하는 경우는 알코올 손 세정제를 가지고 다니면서 수시로 손 씻기를 하면 된다”고 권했다.
김 교수는 “현재 사망률이 약 3%지만 상당히 유동적이다. 앞으로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신종 코로나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했다. 아직 신종 코로나의 정체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 중국과학원 상하이파스퇴르연구소와 군사의학연구원 연구자는 신종 코로나의 숙주가 박쥐 또는 뱀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 교수는 2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인플루엔자·사스·메르스를 예로 들며 "환자가 기침, 재채기 할 때 나오는 미세 물방울 안에 바이러스가 있어 1~2m 이내에 있는 사람들의 눈이나 코, 입을 통해 바이러스가 들어간다”며 “눈과 코, 입에 점막이 있다. 그 부분이 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붙어서 들어가 코나 입 말고도 눈 안쪽의 점막을 통해서도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눈을 바라보기만 해도 감염되냐는 질문에는 "그것은 루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지금 전파 경로가 기침과 재채기, 비말(침방울) 감염이기 때문에 손 씻기와 기침 에티켓, 마스크 착용 등이 중요하다”며 “마스크는 식약처 인증 보건 마스크 KF-80 이상을 쓰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보통 싱크대에서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30초 박박 씻어서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싱크대가 없는 상황에서 활동하는 경우는 알코올 손 세정제를 가지고 다니면서 수시로 손 씻기를 하면 된다”고 권했다.
김 교수는 “현재 사망률이 약 3%지만 상당히 유동적이다. 앞으로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신종 코로나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했다. 아직 신종 코로나의 정체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 중국과학원 상하이파스퇴르연구소와 군사의학연구원 연구자는 신종 코로나의 숙주가 박쥐 또는 뱀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