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29일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을 방문해 "규제를 없애고 AI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 총리는 AI 스타트업 '솔트룩스'를 방문해 AI와 빅데이터 분석 기업 10곳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국내 AI와 빅데이터 산업 경쟁력 향상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정 총리는 "4차산업혁명 시대는 AI와 데이터 분석 기술이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한다. 데이터 경제를 선도하고 AI 강국이 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이 AI 강국이 되려면 민간기업의 창의적인 도전이 필요하다. 기업이 창의력을 펼칠 수 있게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구체적인 지원 방안으로는 공공분야 데이터 개방과 AI 반도체 등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 확대를 꼽았다.
정 총리는 "정부는 2월 중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종합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며 "한국이 5G 등 네트워크 기술은 앞서지만 AI 분야는 (선진국 보다) 한 발 뒤처져 있는 것이 일반적 인식이다.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더 속도를 내야하는 절박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말했다.
이날 정 총리는 업체 대표들로부터 AI·데이터 산업 현황을 청취하고, 기업들의 AI·데이터 서비스를 체험했다. 정 총리가 취임 후 민간 기업을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행사에는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함께했다.
이날 정 총리는 AI 스타트업 '솔트룩스'를 방문해 AI와 빅데이터 분석 기업 10곳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국내 AI와 빅데이터 산업 경쟁력 향상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정 총리는 "4차산업혁명 시대는 AI와 데이터 분석 기술이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한다. 데이터 경제를 선도하고 AI 강국이 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이 AI 강국이 되려면 민간기업의 창의적인 도전이 필요하다. 기업이 창의력을 펼칠 수 있게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 총리는 "정부는 2월 중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종합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며 "한국이 5G 등 네트워크 기술은 앞서지만 AI 분야는 (선진국 보다) 한 발 뒤처져 있는 것이 일반적 인식이다.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더 속도를 내야하는 절박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말했다.
이날 정 총리는 업체 대표들로부터 AI·데이터 산업 현황을 청취하고, 기업들의 AI·데이터 서비스를 체험했다. 정 총리가 취임 후 민간 기업을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행사에는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함께했다.

정세균 국무총리.[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