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지역주택조합사업 인가 요건을 강화한다.
조합원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1/30/20200130121347961583.jpg)
광주시청[사진=광주시 제공]
30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역주택조합은 무주택 또는 전용면적 85㎡ 이하 1주택 소유자 20인 이상이 조합을 설립해 추진하는 주택사업으로, 사업절차는 조합원 모집신고, 조합설립인가, 사업계획승인, 착공, 사용검사, 조합해산 순으로 진행된다.
현행 제도는 토지사용권원 확보에 관계없이 조합원 모집신고가 가능하고 조합설립인가 때 토지사용권원의 80% 이상 확보하도록 돼 있다.
또 조합원을 모집할 때 허위·과장광고에 대한 법적 제도가 없다.
광주시는 주택법 개정(2020년1월23일)에 따라 7월23일부터 지역주택조합사업을 개선한다.
주요 개선사항은 조합원 모집신고 때 토지사용권원 50% 이상 확보, 조합설립인가 때 토지사용권원 80%이상 및 소유권 15% 이상 확보 등이다.
이처럼 사업추진 조건이 구체화하면서 조합원의 피해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조합원 모집 광고와 절차도 개선된다.
광고할 때 조합원 모집을 알리는 문구, 토지확보 현황, 자격기준을 명시해야 하고 계약할 때 조합원으로 가입하려면 사업개요, 자격기준, 분담금, 토지확보 등 중요사항을 설명 받은 후 서면확인을 하도록 할 계획이다.
자금보관업무를 신탁업자에 대행하고 조합추진실적을 조합원에 분기별로 공개하도록 해 조합운영의 투명성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모집신고 후 2년 이내 설립인가를, 설립인가 후 3년 이내 사업계획승인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총회를 통해 사업종결처리를 할 수 있게 돼 사업지연 및 중단으로 인한 조합원의 부담감이 줄어들게 됐다.
광주시는 이와는 별개로 지난해 7월부터 용도지역 변경(1종→2종일반주거지역)이 수반되는 지역주택조합사업은 도시계획절차(지구단위계획)를 이행한 후 조합원 모집신고를 하도록 해 선의의 조합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