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지난해 창립 이래 연매출 10조원을 최초로 달성했다.
삼성전기는 30일 지난해 연간 매출 10조974억원, 영업이익 4622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2018년 대비 10.3% 증가했다. 전지 부문에서 7조7116억원, 전자재료 부문에서 2조3781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5.4% 감소한 4622억원을 거둬들였다.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와 관련, 안전성 강화 조치에 일회성 비용이 투입되며 영업이익이 급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4분기에는 매출 2조8210억원, 영업이익 20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13.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91.9% 급감했다.
부문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전지사업부문 매출은 2조20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5% 늘었다. 자동차와 ESS에 적용되는 중대형전지 매출이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자동차전지는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고 수익성도 개선됐다. 소형전지는 전동공구와 청소기 중심으로 원형전지 매출이 증가했다.
전자재료사업부문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61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늘었다. 고부가 제품 비중이 확대돼 판매구조가 개선됐다. 편광필름은 계절적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반도체 소재는 전방수요 개선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삼성SDI는 올해 1분기에는 사업 전반이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계절성 영향으로 수요가 감소하며 중대형전지, 소형전지, 전자재료 각 사업부문의 판매와 수익성이 전분기 대비 감소하겠지만, 중대형전지는 전년 동기 대비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SDI는 자동차전지의 공급 확대를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하고 ESS 안전성 강화 조치를 차질없이 진행하여 점진적인 실적 개선을 이뤄나갈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전기차를 비롯해 ESS, 소형전지, 반도체 시장의 성장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올해 자동차전지 시장은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강화에 따른 큰 폭의 수요 성장을 바탕으로 지난해 대비 55% 성장한 176GWh로 전망된다.
ESS 시장은 해외 전력용 시장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26% 성장한 15.9GWh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소형전지 시장 역시 전년대비 14% 성장한 연간 102억셀 규모가 예상된다.
전자재료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전년 대비 10% 성장한 134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디스플레이 시장은 초대형 패널 수요가 성장하고 모바일 OLED 패널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삼성전기는 30일 지난해 연간 매출 10조974억원, 영업이익 4622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2018년 대비 10.3% 증가했다. 전지 부문에서 7조7116억원, 전자재료 부문에서 2조3781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5.4% 감소한 4622억원을 거둬들였다.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와 관련, 안전성 강화 조치에 일회성 비용이 투입되며 영업이익이 급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문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전지사업부문 매출은 2조20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5% 늘었다. 자동차와 ESS에 적용되는 중대형전지 매출이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자동차전지는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고 수익성도 개선됐다. 소형전지는 전동공구와 청소기 중심으로 원형전지 매출이 증가했다.
전자재료사업부문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61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늘었다. 고부가 제품 비중이 확대돼 판매구조가 개선됐다. 편광필름은 계절적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반도체 소재는 전방수요 개선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삼성SDI는 올해 1분기에는 사업 전반이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계절성 영향으로 수요가 감소하며 중대형전지, 소형전지, 전자재료 각 사업부문의 판매와 수익성이 전분기 대비 감소하겠지만, 중대형전지는 전년 동기 대비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SDI는 자동차전지의 공급 확대를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하고 ESS 안전성 강화 조치를 차질없이 진행하여 점진적인 실적 개선을 이뤄나갈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전기차를 비롯해 ESS, 소형전지, 반도체 시장의 성장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올해 자동차전지 시장은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강화에 따른 큰 폭의 수요 성장을 바탕으로 지난해 대비 55% 성장한 176GWh로 전망된다.
ESS 시장은 해외 전력용 시장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26% 성장한 15.9GWh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소형전지 시장 역시 전년대비 14% 성장한 연간 102억셀 규모가 예상된다.
전자재료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전년 대비 10% 성장한 134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디스플레이 시장은 초대형 패널 수요가 성장하고 모바일 OLED 패널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허은기 삼성SDI 중대형시스템개발팀장 전무(오른쪽)가 ESS용 특수 소화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삼성SDI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