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대규모 원금손실을 초래한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관련해 우리·하나은행장에게 중징계를 결정했다.
금감원은 30일 오후 제재심의위원회를 열고,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및 우리은행장과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부회장에게 중징계에 해당하는 '문책 경고'를 의결했다. 지성규 현 하나은행장에 대해서는 경징계인 '주의적 경고'를 내렸다.
앞서 금감원이 손 회장과 함 부회장에게 사전 통보한 대로 중징계를 확정한 것이다. 함 부회장은 DLF판매 당시 은행장이었다.
또 금감원 제재심은 두 기관에 대해서는 일부 업무정지 6개월과 과태료 부과를 금융위에 건의하기로 했다.
금감원이 손 회장과 함 부회장에게 중징계를 내린 것은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최고경영자(CEO)가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DLF 사태가 발생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두 은행이 DLF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행위가 있었다고 인정했다.
한편, 금감원 제재심은 금감원장의 자문기구로 심의 결과는 법적 효력이 없다. 추후 금융위원회 의결을 통해 제재 내용이 최종확정되면 법적 효력이 발생한다.
금감원은 30일 오후 제재심의위원회를 열고,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및 우리은행장과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부회장에게 중징계에 해당하는 '문책 경고'를 의결했다. 지성규 현 하나은행장에 대해서는 경징계인 '주의적 경고'를 내렸다.
앞서 금감원이 손 회장과 함 부회장에게 사전 통보한 대로 중징계를 확정한 것이다. 함 부회장은 DLF판매 당시 은행장이었다.
또 금감원 제재심은 두 기관에 대해서는 일부 업무정지 6개월과 과태료 부과를 금융위에 건의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두 은행이 DLF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행위가 있었다고 인정했다.
한편, 금감원 제재심은 금감원장의 자문기구로 심의 결과는 법적 효력이 없다. 추후 금융위원회 의결을 통해 제재 내용이 최종확정되면 법적 효력이 발생한다.

[사진=아주경제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