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공공임대주택, 목표치 초과달성...전국 13만9000채 공급

  • 장기 공공임대 재고율, 연말까지 OECD 수준인 8% 근접할 듯

공공주택사업 대상으로 지정된 영등포 쪽방촌.[사진=저작권자.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정부가 작년 공공임대 주택을 목표치보다 3000채 추가 공급했다. 올 연말 장기 공공임대 주택 재고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8%에 근접할 것으로 기대된다.

2일 국토교통부는 작년 공공임대주택을 13만9000채(준공 기준) 공급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7년 11월 주거복지로드맵과 2018년 7월 신혼부부·청년 주거지원방안에서 제시된 목표치(13만6000채)보다 3000채 초과 달성한 것이다.

계층별로 보면 청년층이 2만8500채, 신혼부부 4만4000채, 고령자 9500채, 일반 취약계층 5만7000채 등이다.

청년층에는 기숙사형 청년주택을 서울 개봉동에 처음 공급한 것을 시작으로 총 8곳에 1016채를 공급했다. 젊은 창업가와 중소기업 근로자 등을 위한 일자리 연계형 행복주택도 2만8500채 공급했다.

신혼부부에는 지원대상과 지원주택 유형을 확대한 '신혼부부 매입·전세임대 Ⅱ' 유형을 신설해 9000채 공급했다. 국토부는 매입임대에 입주한 신혼부부의 육아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아이돌봄시설 10곳도 공급했다.

고령자에 대해선 사회복지관과 무장애 설계가 적용된 임대주택을 복합 건설해 주거와 복지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고령자복지주택 6곳을 공급하기도 했다.

6곳의 고령자복지주택은 세종 신흥(80채), 부안 봉덕(80채), 안동 운흥(150채), 수원 광교(152채), 보은 이평(100채), 옹진 백령(72채) 등이다.

쪽방과 고시원 등 비주택에 거주하는 일반 주거취약 계층에게 지원된 매입·전세임대는 4000채다.

작년 공급된 공공임대는 유형별로 건설임대주택이 6만채, 기존 주택을 매입해 공급하는 매입임대는 3만1000채, 기존주택을 임차해 재임대하는 전세임대가 4만8000채다.

건설임대는 다시 행복주택 2만4000채, 국민임대 8500채, 영구임대 2500채 등으로 분류된다.

수도권에 공급된 공공임대는 8만4000채로 전체 공급물량의 60%를 차지했다. 시·도별로 경기도가 4만7000채로 가장 많고 서울 2만8000채, 인천 8000채, 경남 7000채 등 순이다.

공급주체별로 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10만5000채를 공급해 총 물량의 75%를 담당했다.

국토부는 올해 14만1000채를 공급한다는 목표다. 작년 목표치보다 5000천채 많은 수치다. 현 정권이 2022년까지 공급하는 공공임대는 총 70만2000채다.

주거복지로드맵 수립 당시 장기 공공임대 재고율(2016년 기준)은 6.3%에 불과했지만 2017년 6.7%에 이어 2018년 7.1%까지 상승했다. 연말에는 OECD 평균인 8%까지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