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한·중 정부 간 마찰설에 대해 “중국과 소통을 잘하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강 장관은 2일 오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이하 신종 코로나) 확대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양국 정부가 이 사태에 대응하면서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며 신종 코로나 사태가 한·중 외교 마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 장관은 “오늘도 베이징(北京)과 서울에서 소통을 계속하면서 검토해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국과의 소통은 지난번 우한(武漢) 교민들 귀국조치를 포함해 소통이 굉장히 잘 되고 있어서, 외교 마찰이 있다는 것은 좀 어폐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도 지금 이런 긴급 상황에 대응하면서, 또 우리도 국내적으로 대응하면서 서로 상당히 소통을 잘하고 있다”고 강조, 중국 측에 정부의 조치를 수시로 설명하고 통보하고 있어 마찰이 생길 상황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강 장관은 한·중 양국의 강력한 방역조치 등으로 양국 간 인적 교류나 기업환경이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래서 이를 위해 앞으로 중국 내 총영사관 등을 통해 관련 사항을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미 계획된 한·중 간 외교일정을 차질없이 추진할 방침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올해 한·중 최대 외교행사로 꼽히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연기 관측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앞서 정부는 올해 상반기 내 시 주석의 방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시 주석은 지난 2014년 7월 박근혜 정부 때 이후로 5년이 넘게 한국을 방문하지 않았다. 그러다 지난해 11월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의 방한을 계기로 시 주석의 방한이 본격적으로 논의됐다.
한편 정부는 이날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고자 중국에서의 한국 입국을 위한 비자 발급을 제한하고, 관광목적의 단기비자 발급은 중단하기로 했다. 또 중국 전역의 여행경보를 현재 ‘여행 자제’ 단계에서 ‘철수 권고’로 상향 발령하고, 관광 목적의 중국 방문도 금지한다고 결정했다.
강 장관은 2일 오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이하 신종 코로나) 확대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양국 정부가 이 사태에 대응하면서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며 신종 코로나 사태가 한·중 외교 마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 장관은 “오늘도 베이징(北京)과 서울에서 소통을 계속하면서 검토해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국과의 소통은 지난번 우한(武漢) 교민들 귀국조치를 포함해 소통이 굉장히 잘 되고 있어서, 외교 마찰이 있다는 것은 좀 어폐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도 지금 이런 긴급 상황에 대응하면서, 또 우리도 국내적으로 대응하면서 서로 상당히 소통을 잘하고 있다”고 강조, 중국 측에 정부의 조치를 수시로 설명하고 통보하고 있어 마찰이 생길 상황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아울러 이미 계획된 한·중 간 외교일정을 차질없이 추진할 방침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올해 한·중 최대 외교행사로 꼽히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연기 관측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앞서 정부는 올해 상반기 내 시 주석의 방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시 주석은 지난 2014년 7월 박근혜 정부 때 이후로 5년이 넘게 한국을 방문하지 않았다. 그러다 지난해 11월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의 방한을 계기로 시 주석의 방한이 본격적으로 논의됐다.
한편 정부는 이날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고자 중국에서의 한국 입국을 위한 비자 발급을 제한하고, 관광목적의 단기비자 발급은 중단하기로 했다. 또 중국 전역의 여행경보를 현재 ‘여행 자제’ 단계에서 ‘철수 권고’로 상향 발령하고, 관광 목적의 중국 방문도 금지한다고 결정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박능후 장관과 관계부처 실·국장 등이 배석한 가운데 확대회의를 마치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