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선 향한 삼성 부당합병 의혹 수사… 이재용 조사 임박(종합)

삼성그룹 경영권 승계와 제일모직-삼성물산 부당합병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최지성 전 삼성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장충기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차장(사장)을 동시소환했다.

윗선 수사에 박차를 가해온 검찰이 최 전 실장까지 소환하면서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조사도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조국 전 장관에 대한 수사로 6개월 이상 중단됐던 삼성에 대한 수사가 재개 즉시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이복현 부장검사)는 4일 오전 최 전 부회장과 장 전 사장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부당합병 의혹과 관련해 장 전 사장이 소환된 것은 지난달 20일과 29일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다. 최 전 부회장은 이번이 첫 소환이다. 삼성그룹 고위임원이 같은 날 동시에 소환된 것 역시 대단히 이례적이다. 

검찰은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그룹 수뇌부 내 의사결정 과정 전반을 캐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 삼성전자 대표이사에 오른 최 전 부회장은 이건희 회장 시절인 2012년부터 미래전략실장을 맡아 5년 동안 미전실을 이끌었다. 2017년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퇴사하기 전까지 그는 삼성그룹의 '2인자'로 불렸을 정도로 그룹 내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졌다.

이 때문에 재계에서는 최 전 부회장과 장 전 사장이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 것은 물론 이재용 부회장 경영권 승계 작업을 위한 합병과정 전반에 깊숙이 관여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같은 맥락에서 검찰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의혹과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직전에 발생한 삼성물산 회사 가치의 비정상적 하락이 이 부회장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그룹 차원에서 기획된 일이라고 의심한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은 2015년 5월 삼성물산 주식 1주를 제일모직 0.35주와 바꾸는 비율을 적용해 합병했다. 이를 통해 제일모직 주식의 23.2%를 보유한 대주주였던 이재용 부회장의 삼성그룹 지배력이 강화됐다.

검찰은 제일모직이 보유한 에버랜드 부지의 표준 공시지가가 2015년 370% 오르는 등 제일모직 자산가치가 고의적으로 부풀려졌는지 여부도 살펴보고 있다.

앞서 검찰은 김신 전 삼성물산 대표와 김종중 전 미전실 전략팀장(사장) 등 간부들을 잇달아 소환했다. 법조계에서는 최 전 실장에 대한 조사가 사실상 이 부회장 소환의 최종관문으로 보고 있다.

삼성 뇌물 관련 검찰 재판에서 이 부회장은 최서원(순실)씨의 딸 정유라씨에 대한 승마지원과 합병 과정 등 전반을 최 전 부회장이 알아서 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바 있다. 최 전 실장도 최종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때문에 검찰은 이번 조사에서 최 전 실장에게 합병 과정 등에서 이 부회장의 역할에 대해 집중적으로 캐묻고, 이를 바탕으로 이 부회장에 대한 소환 여부·시기 등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재용 부회장의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심리위원 제도를 도입하기로 한 데 대해, 지난 1일 이 부회장 사건을 수사해 온 박영수 특검이 반대 의견서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최지성 전 삼성 미래전략실장이 지난달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