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은 2019년 연간 연결당기순이익으로 2조4084억원을 거뒀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7.8%(1750억원) 증가한 규모로, 2005년 12월 지주 설립 이후 최대 실적이다. 지난해 4분기 별도순익은 3672억원이다.
최대실적을 이끈 것은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이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5조7737억원의 이자이익과 2조2565억원의 수수료이익을 거둬 총 8조302억원의 핵심이익을 시현했다. 이는 전년 대비 2.1%(1689억원) 증가한 기록이다.
하나금융의 지난해 자산건전성은 국내외 경제성장률 하락 등 비우호적 외부환경 속에서도 적극적인 자산건전성 제고 노력으로 안정적인 추세를 지속했다.
지난해 말 그룹 대손비용률은 전년 수준인 0.18%를 기록했다.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전년 말 대비 11bp 하락한 0.48%로 집계됐다. 연체율은 전년 말 대비 7bp 떨어진 0.30%를 나타냈다.
하나금융의 2019년 말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총자산이익률(ROA)은 각각 8.78%와 0.60%를 기록했다. 그룹 총영업이익경비율(C/I Ratio)은 전년 대비 1.5% 포인트 개선된 50.7%다. 4분기 추가 임금피크 대상자에 대한 특별퇴직금 지급 비용을 제외할 경우 48.9% 수준이다.
119조3447억원의 신탁자산을 포함한 그룹 총자산은 전년 말 대비 9.7%(47조9838억원) 증가한 540조8630억원이다.
기말현금배당은 주당 1600원이다. 기지급된 중간배당 500원을 포함한 2019년 회계연도에 대한 보통주 1주당 총현금배당은 2100원이다. 연간 배당성향은 25.6%로 예상된다.
주력 계열사인 하나은행은 3653억원의 4분기 별도 순익을 포함해 지난해 2조1565억원의 연결순익을 시현했다. 전년 대비 3.4%(706억원) 증가한 수치로, 통합은행 출범 이후 최대 실적이다.
5조4140억원의 이자이익과 8864억원의 수수료이익을 합한 은행의 핵심이익은 총 6조3004억원으로 전년 대비 2.7%(1648억원) 늘었다.
핵심저금리성예금은 전년 말 대비 13.3%(7조원) 증가한 59조6200억원이다. 정기예금은 전년 말 대비 11.2%(13조4460억원) 증가한 133조3670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 말 기준 예대율은 94.4%이다.
또 하나은행은 지난해 4분기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와 관련해 1600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설정했다. 이 금액 안에서 손실을 입은 고객들에게 배상을 실시할 방침이다.
하나금융투자는 지난해 전년 대비 84.3% 늘어난 2803억원의 연간순익을 시현했다. 인수주선·자문수수료가 전년 대비 55% 증가한 영향이 컸다.
하나카드는 가맹점수수료 인하 등으로 전년 대비 47.2% 감소한 563억원의 연간순익을 거뒀다. 하나캐피탈의 연간 순익은 전년 대비 10.5% 감소한 1078억원었다. 하나생명과 하나저축은행은 각각 237억원, 161억원의 연간 순익을 시현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임금피크 특별퇴직금, 환율 상승에 따른 비화폐성 환차손 등 일회성 비용 발생에도 불구하고 명동사옥 매각익, 베트남 지분투자 관련 파생이익 등과 상쇄되면서 전체 순익이 상승했다"고 말했다.
최대실적을 이끈 것은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이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5조7737억원의 이자이익과 2조2565억원의 수수료이익을 거둬 총 8조302억원의 핵심이익을 시현했다. 이는 전년 대비 2.1%(1689억원) 증가한 기록이다.
하나금융의 지난해 자산건전성은 국내외 경제성장률 하락 등 비우호적 외부환경 속에서도 적극적인 자산건전성 제고 노력으로 안정적인 추세를 지속했다.
지난해 말 그룹 대손비용률은 전년 수준인 0.18%를 기록했다.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전년 말 대비 11bp 하락한 0.48%로 집계됐다. 연체율은 전년 말 대비 7bp 떨어진 0.30%를 나타냈다.
119조3447억원의 신탁자산을 포함한 그룹 총자산은 전년 말 대비 9.7%(47조9838억원) 증가한 540조8630억원이다.
기말현금배당은 주당 1600원이다. 기지급된 중간배당 500원을 포함한 2019년 회계연도에 대한 보통주 1주당 총현금배당은 2100원이다. 연간 배당성향은 25.6%로 예상된다.
주력 계열사인 하나은행은 3653억원의 4분기 별도 순익을 포함해 지난해 2조1565억원의 연결순익을 시현했다. 전년 대비 3.4%(706억원) 증가한 수치로, 통합은행 출범 이후 최대 실적이다.
5조4140억원의 이자이익과 8864억원의 수수료이익을 합한 은행의 핵심이익은 총 6조3004억원으로 전년 대비 2.7%(1648억원) 늘었다.
핵심저금리성예금은 전년 말 대비 13.3%(7조원) 증가한 59조6200억원이다. 정기예금은 전년 말 대비 11.2%(13조4460억원) 증가한 133조3670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 말 기준 예대율은 94.4%이다.
또 하나은행은 지난해 4분기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와 관련해 1600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설정했다. 이 금액 안에서 손실을 입은 고객들에게 배상을 실시할 방침이다.
하나금융투자는 지난해 전년 대비 84.3% 늘어난 2803억원의 연간순익을 시현했다. 인수주선·자문수수료가 전년 대비 55% 증가한 영향이 컸다.
하나카드는 가맹점수수료 인하 등으로 전년 대비 47.2% 감소한 563억원의 연간순익을 거뒀다. 하나캐피탈의 연간 순익은 전년 대비 10.5% 감소한 1078억원었다. 하나생명과 하나저축은행은 각각 237억원, 161억원의 연간 순익을 시현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임금피크 특별퇴직금, 환율 상승에 따른 비화폐성 환차손 등 일회성 비용 발생에도 불구하고 명동사옥 매각익, 베트남 지분투자 관련 파생이익 등과 상쇄되면서 전체 순익이 상승했다"고 말했다.

[사진=하나금융지주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