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는 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신종 코로나 대응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회의에서 “정부는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상황을 위해 노력하면서 최악의 상황에도 대비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중국 춘제 연휴가 끝나면서 10일부터 대규모 이동이 시작된다. 국내 확진자의 감염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지역사회 전파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앞으로 중국 외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한 주요 국가 입국자에 대한 검역이 강화된다.
정부는 지난 4일부터 중국 후베이(湖北)성을 방문하거나 체류한 적이 있는 모든 외국인의 한국 입국 금지 조치를 하고 있다. 이 같은 입국제한 조치는 중국 내 신종 코로나 확산 상황 등에 따라 확대될 전망이다.
지역 사회 전파와 확산에 대비해서는 공공·민간 가용 의료자원을 사전에 파악해 필요시 적재적소에 투입하기로 했다.
정 총리는 “정부는 현재 198개인 국가지정 음압치료병상을 900개 이상 확보하는 등 의료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단계별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보건소뿐만 아니라 행정인력, 물적자원을 모두 동원하는 총력태세를 갖춰달라”고 의료계에 협조를 당부했다.
우한에 남아 있는 교민을 수송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정 총리는 “아직도 우한에는 귀국을 희망하시는 교민들과 그 가족들이 남아 있다”며 “정부는 그분들을 안전하게 국내로 모셔오기 위해 조속히 임시 항공편을 투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30일과 31일 우한에 전세기를 보내 한국인 701명을 귀국시킨 데 이어 중국 당국과의 협의가 끝나는 대로 우한 교민 수송을 위한 3차 전세기를 띄울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우한 일대에는 한국인과 가족 등 약 200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위기경보는 현재 ‘경계’ 단계로, 이를 격상할 경우 ‘심각’ 단계로 접어든다.
신종 코로나 대응 추가 조치로 정 총리는 “중국에서 입국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자가진단 앱을 오는 12일부터 본격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