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시 꼭] 은은한 고추장의 빛...도미 눈엔 한국 현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성민 기자
입력 2020-02-11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한국화가 김선두 개인전

  • 한국사회 이념 차이 담아낸 ‘마른 도미‘

  • 옅고 진한 농담으로 ‘느림과 포용‘ 표현

  • ‘20년 인연‘ 학고재에서 3월 1일까지 전시

‘느린 풍경-유달길‘ 앞에 선 김선두 작가. [사진=학고재 제공]

“김선두 선생님께 개인전을 열어 달라고 몇년 전부터 부탁드렸습니다. 작가께서 많은 시간을 공들여 준비하신 전시입니다.”

지난 7일 서울 종로구 학고재 갤러리에서 만난 우정우 실장은 김선두 개인전 ‘김선두’를 자신 있게 소개했다. ‘느린 풍경’ 연작으로 유명한 작가가 ‘느리게’ 마련한 전시이기 때문이다.

현재 중앙대 예술대학 한국화 전공 교수로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김선두는 대중에게 낯설지 않은 작가다. 2002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 영화 ‘취화선’에서는 배우 최민식이 연기한 천재 화가 장승업 그림 대역을 맡아 주목받았다. 2007년 출판된 김훈 소설 <남한산성> 표지도 김 작가 작품이다.

미술이 어떻게 하면 대중과 소통할 수 있을지에 대해 항상 고민하는 그를 위해 문화계 인사들과도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이번 개인전 개막 행사에는 소리꾼 장사익과 가수 이은미 등이 함께했다.

이번 개인전이 20여년을 함께한 학고재에서 열리는 것은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작가가 갤러리와 수십년간 연을 이어온 것은 드문 일이기 때문이다. 2000년과 2004년 학고재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적 있는 김 작가는 2016년 학고재 상하이에서 중국 첫 개인전을 열었다. 이번이 학고재에서 하는 네 번째 전시다.

김 작가는 대표적인 동시대 한국 화가다. 다양한 실험적 시도로 한국화가 가진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에는 제68회 서울특별시 문화상(미술 부문)을 수상했다. 그는 이번에 장지화 16점과 유화 3점을 출품했다. 

김 작가는 바탕 작업 없이 색을 중첩해 우려내는 장지화로 일본·중국 채색화와 구별된 독자적 화풍을 발전시켰다. 장지 위에 분채를 수십 차례 반복해 쌓으며 깊은 색을 이끌어냈다.

이처럼 김 작가는 동양화 기법에 뿌리를 두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갖추고 있다. 수묵과 채색을 접목한 시도로 한국화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 김선두 작가. 그의 동양화는 정서 표현을 넘어 구체적인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마른 도미‘, 2019, 장지에 먹, 분채, 178x158cm [사진=학고재 제공]

‘마른 도미’(2019)는 생선 배를 갈라 펼친 모습을 통해 현재를 이야기한다. 김 작가는 마른 도미 형상에 인간 사회를 투영했다. 서로 다른 빨간 눈과 파란 눈은 이념의 차이를 나타낸다. 한 몸을 유지하며 대칭을 이룰 때는 생명을 지닌 물고기였지만, 양 극단을 향해 찢어진 탓에 내면 없는 외피만 남은 죽은 몸이 됐다. 각자의 신념만을 고집하여 딱딱하게 굳어 버린 사회의 모습이다. 도미가 결국 괴물처럼 변해버린 것이다.

김 작가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또 다른 연작 ‘별을 보여드립니다’는 화면 위 빛나는 별과 시든 식물의 대비가 두드러진다. 학고재 관계자는 “생명과 죽음의 이미지를 한 화면에 포용한다”며 “삶의 진실을 깨닫기 위해서는 ‘동시에 보는 눈’이 필요하다는 믿음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했다. 별은 언제나 하늘에 떠 있지만, 눈에서 안 보이기도 한다. 현상이 본질을 가리는 것이다. 김 작가가 새긴 별은 본질을 기억하자는 제안이다.

전시장 중앙에 자리한 ‘느린 풍경 – 덕도길’(2019)도 같은 맥락이다. 김 작가는 “젊은 시절 유명 화가가 되겠다고 바쁘게 속도를 내며 살다 보니 나도 주위 사람들도 피폐해졌다”며 “내 삶의 속도를 줄이면 더 인간적이고 여유 있는 삶이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털어놨다.

차를 운전하다 굽은 길을 만나면 속도를 줄이고 반사경을 살피게 된다. 지나온 길을 돌아보는 순간, 비로소 주위 풍경이 느리게 펼쳐진다. 하마터면 그냥 스치고 지나갔을 소중한 ‘느린 풍경’이다. 이 작품을 통해 김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느리게(SLOW)’의 중요성이다.

김 작가는 자신의 색을 한국의 묵은지와 고추장에 비유한다. 맵지만 겉절이처럼 화끈거리지 않는 빛이라는 것이다. 그의 말을 들은 후 작품을 다시 봤다. 화면 중앙 하단에 자리한 반사경은 두텁게 중첩한 배경의 붉은 빛과 달리 매우 옅은 농담으로 표현됐다. 

수채화처럼 가벼운 터치로 배경과 대비를 극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힘든 현실 속 탈출구 같기도 한 반사경을 바라보며 나의 ‘SLOW’를 곰곰이 생각해봤다.
 

‘느린 풍경 - 덕도길‘, 2019, 장지에 분채, 133x160cm [사진=학고재 제공]

자신의 이름 ‘김선두’를 건 개인전에 자화상도 한점 출품됐다. ‘행 – 아름다운 시절’(2019)은 환갑을 넘은 김 작가가 스스로가 가장 빛나던 시절인 20대 후반을 회상하며 그린 자화상이다. 장지에 엷은 먹을 여러 차례 먹여 배경을 구성했다. 우 실장은 “김 선생님께서 하얀 눈동자를 제외한 작품 전체를 장지로 작업하셨다”고 귀띔했다.

작품 하단에 월요일부터 일요일을 뜻하는 알파벳을 나란히 적고, 그 위에는 매일 일정을 흐릿한 글씨로 새겼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이름과 수서역 같은 장소 등이 적혀 있었다. 세 달여의 삶이 작품에 녹아들어 있었다. 김 작가는 “세월에 따라 사라지고 잊히는 매일의 삶과 순간의 아름다움을 화폭에 기록해 기억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오는 3월 1일까지.

바로 옆에서 작품 ‘포구는 반달‘을 설명하는 김선두 작가 [사진=학고재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