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의 최신 보고서 마켓 펄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9년 전체 글로벌 5G 스마트폰 판매량의 43%를 차지하며 시장 점유율 1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과 보조금 지급 등 대형 통신사의 역할이 큰 시장인 한국, 미국, 중국이 빠르게 5G를 도입하며 5G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했는데, 카운터포인트는 2020년이 5G 네트워크 출시와 커버리지, 기기 재고 여부 등에 따라 첫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카운터포인트의 강경수 연구원은 “삼성은 2019년 전체 글로벌 5G 스마트폰 판매량의 43%를 차지하며 5G 시장을 선도했다. 삼성은 중가에서 프리미엄 부문, 그리고 6GH 이하 주파수(sub-6GHz)와 초고주파(mmWave) 모델에 이르기까지 가장 폭넓은 5G 제품 포트폴리오를 선보였다"며 "한국, 미국, EU, 아시아태평양, 중동 아프리카 국가 등 경쟁사 대비 더 많은 지역에 제품을 출시했다"고 말했다.
카운터포인트는 화웨이가 2020년에는 보다 공격적으로 움직일 것이며, 연말까지는 5G 스마트폰 가격을 200달러 이하로 끌어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통해 화웨이는 중국 5G 스마트폰 시장의 최대 입지를 차지할 뿐 아니라, 중국 내 실적에 힘입어 글로벌 시장 점유율도 상승할 전망이다.
점유율 3위는 지난해 한국, 미국, EU에서 V50시리즈를 출시한 LG가 차지했다. 점유율은 10%다. 그 뒤로는 비보가 4위(5%), 샤오미가 5위(3%), 오포가 6위(2%)를 기록했다. 비보는 삼성을 제외한 스마트폰 제조업체들 중 처음으로 삼성 5G 칩셋을 채택했으며, 샤오미는 400달러 이하 가격대의 5G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오포는 중국, EU, 중동 아프리카 지역에서 프리미엄 부문 5G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사진 = 삼성전자 제공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