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항공사 운영자금을 긴급 융자해주기로 했다.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는 항공사에 대해 산업은행에서 대출 심사절차를 거쳐 필요한 유동성을 공급한다는 것이다. 저비용항공사(LCC)에 대해 최대 3000억원 내에서 유동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가 수혈에 나선 것은 여객 수요가 급감하며 중국 노선과 동남아 일부 노선의 운항이 대폭 줄며 코로나19의 여파가 심상치 않다는 판단에서다. 최근 LCC 업계 1위로 꼽히는 제주항공마저 위기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여객 감소는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보다 크다. 사스의 경우 발병 4개월 후인 2003년 3월 항공여객이 전년 동기 대비 8.4% 감소했다. 메르스는 국내 발병 한달 뒤인 2015년 6월 12.1% 감소했다. 반면 이번 코로나19는 발병 한달 만에 무려 32.2%의 항공여객이 감소했다.
여행 심리가 위축되며 중국과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항공권 예약 취소·환불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달 26일∼이달 12일 항공사의 환불액은 대한항공 1275억원, 아시아나 671억원, 제주항공 225억원, 진에어 290억원, 이스타 190억원, 에어서울 40억원, 티웨이 227억원 등 총 3000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중국을 출발해 인천공항을 경유, 미주·유럽·동남아로 향하던 항공화물의 물동량도 급감하고 있다.
특히 지방 공항을 베이스로 하는 지역 LCC가 위기에 처할 경우 지역 일자리·경기 침체까지 이어질 수 있다. 중국노선 비중이 43%인 청주공항에서는 최근 중국 노선 10개가 모두 운항 중단됐다.
정부는 코로나19사태의 영향이 2001년 9·11 테러 사건보다 더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당시에 비해 항공시장이 4배 넘게 성장했기 때문이다. 9·11 테러 당시 국제여객은 2181만명 수준이었으나 작년 국제여객은 9030만명에 달한다. 당시 국적 항공사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2곳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LCC를 포함, 모두 10곳에 달한다.
이미 항공업계는 LCC를 중심으로 마른 수건 쥐어짜기에 나선 상태다.
제주항공은 위기경영체제 돌입을 선언하고 경영진이 먼저 임금의 30% 이상을 반납하기로 하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도 15일 이상 무급휴가를 사용하도록 했다.
에어서울·티웨이항공·이스타항공 등 다른 저비용항공사들도 희망 휴직과 무급 휴가를 신청받는 등 긴축경영에 들어갔다. 이스타항공은 최근 일시적 유동성 악화로 항공유 대금 결제가 밀렸다가 정유사로부터 급유 중단 통보를 받기도 했다.
아시아나항공은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희망휴직을 받기로 한 데 이어 조종사들도 무급 휴직을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