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주변을 맴도는 자금이 늘어나며 세제 혜택 등 유인책을 고민해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돈이 돌지 않으면 투자와 소비 위축, 내수 둔화 등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정부의 적극적 재정정책과 장기간 이어진 저금리로 갈 곳을 잃은 부동자금이 빠르게 늘고 있다. 단기성 금융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 설정액은 149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이에 따라 현금과 예금,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 시중 통화량을 나타내는 광의통화(M2)도 지난해 2912조4341조원으로 전년 대비 7.9%(213조원) 증가했다. 최근 3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율이 상승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부동자금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적극적인 유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그간 외면받던 공모펀드에 대해 투자 금액 일부에 대한 소득공제 혜택을 준다면 활성화와 함께 유동성 공급도 가능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양호한 증시 성과는 소비심리에도 긍정적"이라며 "코로나19 등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시기에 적극적인 제도적 혜택으로 증시가 양호한 모습을 보이면 소비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단기적 부양책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의 활력을 되살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투자할 만한 좋은 기업이 여럿 있다면 자연히 부동자금도 사라지고 자금흐름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억지로 시장에 자금을 끌어오려고 한다면 오히려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기업 활동에 대한 혜택이나 미래 '유니콘'이 될 수 있는 성장기업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의 정책적 관점이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