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금융·물류 및 관광·스마트시티·영화 등에서 강점을 가진 만큼 블록체인 산업이 부산에 가장 맞는 산업이다. 올해부터 부산국제영화제에도 적용하고 시 전체의 체계를 블록체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인 '디앱'(D앱-탈중앙화 앱)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바꾸려고 한다"
지난 20일 해운대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열린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부산'에 기조발제자로 나선 신창호 부산시 미래산업국장의 이같은 발언은 '블록체인 산업'을 4차산업혁명의 선도적 모델로 삼고 있는 부산시의 부푼 기대감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부산시가 정부로부터 '블록체인 규제 자유특구'로 지정된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블록체인 기반 실서비스 제공 사업자를 분야별로 선정한 부산시는 올해 3월 2차 민간사업자 지정을 준비하는 등 일반인들이 아직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블록체인 세상'을 구현하는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부산지역에 '블록체인' 특구로 분화·지정된 곳은 문현(남구)·센텀(해운대구)·동삼(영도구·서구) 등 혁신지구를 중심으로, 수영구(광안2동·민락동), 중구(광복동·남포동), 사하구(감천 2동), 부산진구(새싹로 295), 동구(충장대로 314) 등 시내 11개 지역이다.
'블록체인 규제 자유특구' 추진단 출범과 함께 분야별 1차 사업자로 선정된 기업은 △'미래형 물류체계 구축' 비피앤솔루션 △'스마트투어 플랫폼 구축' 현대페이 △'공공안전 영상제보 및 데이터 거래 플랫폼 구축' 코인플러그 △'디지털 바우처 발행' 부산은행 등이다.
이들 사업자들은 3월중에 물류·관광·공공안전·금융 분야에서 블록체인과 접목한 신개념 서비스를 3월중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KISA(한국인터넷진흥원)는 부산시청, 부산테크노파크에서 방문객 대상으로 DID(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서비스 기반 방문증을 발급하고 서비스를 체험할 수 '디지털 바우처 결제 시스템'을 준비중이다.
경험해 보지 못한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불안감도 없지 않다. 20일 열린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부산’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은 '블록체인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혁신·포용성장에 가장 알맞은 기술'이라는 데 한목소리를 내면서도 테스트베드(실험장)로서 염두에 둬야할 요소들을 지적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가장 대표적인 과제가 ‘개인정보법’이다. 탈중앙화·투명성·불변성을 본질로 하는 블록체인이 이른바 ‘잊혀질 권리’를 명시한 관련법과 충돌하는 지점을 어떻게 해결하는냐는 문제다. 부산시는 이와 관련, ‘오프체인방식’ 적용한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별도의 서버를 두고 블록체인에는 암호화된 해시값을 올리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신창호 미래산업국장은 "특구사업과 스마트시티를 중심으로 경제생태계 실험에 나서고 있다"면서 "특구사업의 성공으로 다양한 관련 산업이 법·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점을 어필하면서 각종 국가시범사업과 연계해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들 사업자들은 3월중에 물류·관광·공공안전·금융 분야에서 블록체인과 접목한 신개념 서비스를 3월중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KISA(한국인터넷진흥원)는 부산시청, 부산테크노파크에서 방문객 대상으로 DID(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서비스 기반 방문증을 발급하고 서비스를 체험할 수 '디지털 바우처 결제 시스템'을 준비중이다.
경험해 보지 못한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불안감도 없지 않다. 20일 열린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부산’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은 '블록체인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혁신·포용성장에 가장 알맞은 기술'이라는 데 한목소리를 내면서도 테스트베드(실험장)로서 염두에 둬야할 요소들을 지적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가장 대표적인 과제가 ‘개인정보법’이다. 탈중앙화·투명성·불변성을 본질로 하는 블록체인이 이른바 ‘잊혀질 권리’를 명시한 관련법과 충돌하는 지점을 어떻게 해결하는냐는 문제다. 부산시는 이와 관련, ‘오프체인방식’ 적용한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별도의 서버를 두고 블록체인에는 암호화된 해시값을 올리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신창호 미래산업국장은 "특구사업과 스마트시티를 중심으로 경제생태계 실험에 나서고 있다"면서 "특구사업의 성공으로 다양한 관련 산업이 법·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점을 어필하면서 각종 국가시범사업과 연계해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블록체인 산업육성조례'를 준비중인 부산시는 오는 6월에는 2025년까지 블록체인 관련 원천기술 개발 등의 내용을 담은 ‘비전발표’을 예정해 두고 있다. 이와 함께 3월중 발표될 부산시 2차 사업자 선정과 관련, 삼성SDS컨소시엄과 LG cns, 빗썸코리아 등 7개 사업자가 특구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