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금융투자협회 공시를 보면 BNK투자증권은 전날 이사회에서 주주배정증자를 1000억원 규모로 실시하기로 했다. 회사는 이번 증자로 자본금을 1130억원에서 2130억원으로 2배 가까이 늘린다.
DGB금융지주에 속한 하이투자증권도 덩치 불리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19년 말 이사회를 열어 모두 2175억원 규모로 유상증자에 나서기로 했다. 증자를 끝내면 하이투자증권은 '자기자본 1조원' 증권사로 도약한다. 2019년 3분기 말 자기자본은 7863억원으로 1조원에 한참 못 미쳤다. 하이투자증권은 올해 1분기 안에 유상증자 절차를 모두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증권업에서도 자본력은 수익 규모를 좌우한다. 자기자본이 커질수록 영업력이 확대돼 더 많은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증권사 영업범위 자체가 최저자금 요건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지방금융지주도 잇달아 자회사인 증권사에 돈을 넣어 몸집을 불리는 이유다.
지방금융지주는 대형 금융지주처럼 은행업 의존도가 높다. 순이자마진(NIM)이 저금리로 하락하는 바람에 이자이익 감소가 불가피해졌다. 지방금융지주마다 국내외에서 증권사를 키워 비이자수익을 늘리려고 하는 이유다.
은행업종 순이자마진은 올해 들어 더 나빠질 수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코로나 사태 여파로 2분기 이후 인하 가능성은 여전히 높게 점쳐지고 있다.
조보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업종 성장성과 수익성을 뒤바꿀 긍정적 촉매제가 단기적으로는 없는 상황"이라며 "반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졌고, 사모펀드 손실 사태에 따른 배상 이슈는 은행업종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했다.
이어 그는 "부동산 규제 강화 정책으로 인해 가계대출 성장 역시 한계에 다다른 상황임을 감안하면 은행 업종 전반에 호재를 기대하기 힘든 시기"라며 "은행업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성장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