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가 동결되면서 과열 현상을 보여온 부동산 시장은 일단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4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고 이미 시중에 풀린 유동성이 1000조원에 달해 영향은 미미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7일 통화정책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1.25%로 동결했다. 코로나19 확산에 금리인하 기대감이 증폭됐지만, 집값 안정화를 위해 일단 상황을 지켜보자는 시각이 우세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여전히 높고 지난해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대책 이후 주택가격이 안정됐다고 확신할 수 없는 만큼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지난해 대출 금지안을 포함한 12·16 정책으로 '부동산 투기와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저금리를 서울 집값 상승 주요인으로 지목했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단속 의지가 워낙 확고한 데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주택거래도 제한을 받는 만큼 당분간 집값은 안정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4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 현재의 금리 동결은 임시방편에 불과할 수 있다. 시중 부동자금은 1000조원을 넘어섰는데 부동산 외 투자처를 쉽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결국 단기적으로는 아파트값 급등세가 꺾일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집값이 안정될지는 미지수인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일 정부가 서울 강남과 경기 남부 지역을 규제하자, 인천이나 대전 등 인근의 다른 비규제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감정원이 27일 발표한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24일 기준) 수원 집값은 1.56% 상승했다. 상승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앞서 주간 2.04%, 1.81%씩 올랐던 것과 비교하면 상승폭은 줄었다.
반면 대전 서구와 경기 화성시 집값이 각각 1.20%, 1.07% 올랐다. 두 지역의 주간 상승률이 1%를 넘은 것은 한국감정원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처음이다.
부동산은 키맞추기 형식으로 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집값이 급등한 지역의 주변부로 상승세가 옮겨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금리 인하로 유동자금이 더 유입되면 집값 폭등을 더 부채질 할 수 있다"며 "불확실한 코로나19 리스크보다 확실한 부동산 문제를 잡기 위한 선택이었지만, 효과는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