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익상편은 각막 주변에 하얀 막이 덮이는 증상 때문에 백내장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헷갈리기 쉬운 백내장과 익상편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백내장은 노화로 인한 대표적인 안과 질환으로 투명했던 수정체의 단백질이 변성돼 백색 또는 황색, 심한 경우 갈색 등의 혼탁을 보이는 게 특징이다. 수정체가 뿌옇게 변하는 것으로 심한 경우가 아니라면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지 않다.
반면 익상편(翼狀片)은 이름 그대로 ‘날개(翼) 모양(狀)의 조각(片)’이 눈의 표면에 생기는 질환이다. 따로 ‘군날개’라고 부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결막 조직의 비정상적인 증식으로 섬유혈관성 조직이 각막을 침범해 안구 표면에 흰막이 생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백내장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9년 147만6751명으로 2015년(120만1158명)보다 약 23% 증가했다. 대부분 60대 이상에서 관찰된다. 초기에는 낮에 시력이 저하되는 주맹 현상을 보이기도 하고, 양상에 따라 돋보기에 의존하던 환자들이 돋보기 없이도 근거리가 잘 보이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익상편(翼狀片)은 증식된 섬유혈관성 조직에 의해 충혈, 이물감 등을 호소하기도 하고, 시축을 가리거나 각막(검은자)까지 자란 병변에 의해 난시 등이 유발돼 시력 저하가 나타나기도 한다.
50대부터 급증하고, 흡연이나 야외 활동이 많은 인구 군에서 주로 관찰된다. 지난해 진료받은 인원은 6만8602명이다. 자외선과 흡연, 이물 반응 등이 대표적으로 알려진 원인이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안과 황형빈 교수는 “백내장과 익상편은 세극등 현미경을 통해 관찰 후 진단하게 되는데, 두 질환 모두 유의하게 진행될 경우 안경으로도 교정이 되지 않는 시력 저하가 나타난다”고 했다.
치료와 수술= 백내장의 경우 모두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시력 저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후 수술 여부를 결정한다. 특히 외상으로 인한 백내장은 증상이 일반적인 노인성 백내장(시력 저하)과 비슷하지만 수술방법이 매우 까다롭고 합병증 발생 빈도가 높다. 또 경우에 따라 2차 수술이 시행되는 경우도 있고 망막 전문의 등과 협진이 필요할 수 있다.
백내장 수술은 일반적으로 초음파 유화 흡인술을 시행해 백내장이 발생한 수정체를 제거하고 비어있는 수정체낭에 적합한 도수의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최근에는 최대한 나안시력을 호전시키기 위해 난시 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하거나, 노안 개선을 위해 다초점 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안과 황형빈 교수는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수술방법이나 인공수정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막 지형도 검사, 굴절 검사, 안저 검사 등은 물론, 수술 전 충분한 면담과 문진을 통해 환자의 전신질환, 나이, 더 나아가 생활패턴과 직업 등까지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난시 교정 인공수정체나 소위 노안 수술이라고 일컫는 다초점 인공수정체삽입술이 비교적 고가의 안과 수술로 최근 유행하고 있지만, 안과의와 환자 모두 섣불리 난시 교정 및 다초점 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하거나 선택해서는 안 된다.
▲부정난시가 있거나 각막 혼탁이 있는 경우 난시 인공수정체삽입술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고 ▲중증의 안구 건조증, 녹내장 및 망막 질환이 심할 경우 ▲또는 모든 것이 적합하더라도 일반적인 사무직이 아닌 직업이 야간 운전을 많이 하거나 근거리 정밀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다초점 인공수정체삽입술 시행 후 빛 번짐으로 인한 불편감이 심할 수 있다.
익상편은 질환 초기에 충혈 감소 등의 미용 목적으로 시행해서는 안 된다. 아무리 꼼꼼히 수술을 시행하더라도 재발률(첫 수술의 경우 약 10% 정도로 보고됨)이 높은 편인 만큼 반드시 시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만 시행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익상편을 제거하고 자가결막을 채취해 이식하는 것으로, 채취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양막이식을 선택하기도 한다. 성공적인 익상편 절제술 후 약 2개월간 경과관찰을 하면서 이식한 결막편 혹은 양막이 올바르게 생착됐는지 확인한다.
황 교수는 “백내장과 익상편은 수술로 완쾌될 수 있는 대표적인 노화성 안과 질환으로 올바른 진단과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만 시력의 질은 높이고 불편감과 합병증은 감소시킬 수 있다”면서 “노화 외에도 대표적으로 알려진 위험인자들인 당뇨를 잘 조절하고, 일상생활에서 금연을 생활화하며, 자외선을 피하는 등의 생활습관 교정이 중요할 수 있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