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코로나19 급속 확산세에 따라 본사 직원과 현장 관리직까지 재택근무를 확대 시행하는 건설사들이 하나둘씩 늘고 있다. 건설사들이 대응 단계를 최고 경계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분위기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글로벌은 지난달 25일부터 조직단위 일별 '필수근무 인력'(업무 일정상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인원)을 제외한 모든 본사 임직원이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애초 코오롱글로벌은 같은 달 28일까지 재택근무를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자 오는 6일까지 재택근무 기간을 연장했다.
대림산업은 지난달 25일부터 임신부는 재택근무를 했으며, 28일과 2일(금요일, 월요일) 본사 전 직원이 연차를 냈다. 위험한 시기인 만큼 아예 출근을 피하자는 입장이다. CJ건설은 이날부터 오는 13일까지 2주간 본사 인원의 절반씩 매일 교차로 재택근무를 시행하기로 했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도 임산부나 자녀 돌봄이 필요한 직원 등을 대상으로 재택근무를 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코로나19에 노출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는 천식 등 만성질환자도 재택근무에 들어간 상태다.
GS건설은 본사 사옥이 위치한 종로구 '그랑 서울'에서 밀접 접촉자가 발생하자 즉시 해당 층을 폐쇄하고 방역을 진행했다. 지난달 27일부터 직원을 2개 조로 나눠서 시차를 두고 출퇴근하게 하고 있으며, 임산부나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직원은 신청을 통해 재택근무를 할 수 있다.
지난달 25일 경기 성남 분당 현장, 27일 서울 여의도 파크원 현장 근무 직원이 잇따라 확진 판정을 받으며 현장이 폐쇄되면서 대형 건설사들도 긴장 태세를 갖추는 모습이다.
이에 정부도 시급하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토교통부는 건설 현장 안전을 위한 건설 현장 코로나19 대응 가이드라인을 시행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대책이 내놨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등으로 공사가 지연될 경우 계약기간을 연장해 주는 내용의 계약기간·계약금액 조정 세부방안을 1일 마련했다. 보다 세부적인 계약 조정 지침을 수립, 전달하며 건설근로자 보호와 건설현장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공사를 중단하지 않더라도 코로나19로 인한 인력·부품 수급 차질 등으로 불가피하게 공사가 지연될 경우 지체상금 면제·계약 금액 조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도록 했다.
이날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전월 대비 3.2포인트 하락한 68.9를 기록하며 70선 밑으로 내려왔다. 이는 정부의 규제에 코로나19 확산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CBSI는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100을 넘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건설업 CBSI는 올해 공공공사 등 사회기반시설(SOC) 물량 확대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해 12월 92.6까지 올랐으나 연초 발주물량 감소와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1월(72.1)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주로 중소건설사와 지방에서 타격이 컸다. 대형과 중소기업 지수는 각각 72.7, 73.8로 전월과 같았으나 중소기업은 1월보다 10.7포인트 떨어진 58.7로 최근 6개월 이래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월보다 1.4포인트 떨어진 80.1이었으나 지방은 5.0포인트 내려 지수 50대(55.3)로 떨어졌다.
3월 전망 지수는 봄철 발주 물량 증가에 대한 기대로 2월 대비 19.6 오른 88.5로 전망됐다. 그러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실제 지수는 이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연구원은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