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뉴욕증시 마감] 중앙은행 돈풀기 기대감에 급반등...다우 5%↑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세미 기자
입력 2020-03-03 06: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미국 뉴욕증시가 3일(현지시간) 4~5%대 급반등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포함해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이 코로나19 사태에 대응에 적극적인 경기부양을 시사하면서 시장에 상승 동력을 제공했다. 

이날 다우지수는 전일비 5.1%(1293.96포인트) 뛰어오른 2만6703.32에 거래를 마감했다. 하루 상승률로는 2009년 3월 이후 가장 컸다. S&P500지수도 4.6%(136.01포인트) 껑충 뛴 3090.23에, 나스닥지수는 4.5%(384.80포인트) 치솟은 8952.17에 각각 장을 마쳤다. 

지난주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공포 속에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한주를 보냈지만 연준을 비롯해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이 적극적인 대응을 시사하면서 이날 시장의 분위기가 급반전됐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28일 패닉 장세가 계속되자 이례적으로 긴급성명을 내고 "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적절하게 행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은 연준이 이달 기준금리를 단번에 50bp(0.5%P) 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에서도 정책 수단을 조정할 준비가 돼있다는 발언이 나왔으며, 일본은행(BOJ) 역시 시장 안정을 위해 충분한 유동성을 공급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키이스 부차난 블로벌트의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CNBC에 "시장은 저점에서 매수할 준비가 돼 있었다"면서 "나쁜 날이 있으면 그 뒤에 연속으로 좋은 날이 따른다는 사실을 시장은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신중론도 적지 않다. 스파트탄 캐피털 시큐리티스의 피터 카딜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악의 시기는 아직 오지 않았다"면서 "증시가 거의 바닥에 가까워진 것 같긴 하지만 여전히 2~3% 더 떨어질 여지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코로나19는 여전히 맹위를 떨치면서 세계 각국으로 번지고 있다. 전 세계 확진자는 9만명에 육박하고, 사망자는 이미 3000명을 넘겼다.

한편 미국보다 먼저 마감한 유럽 주요 증시는 나라별로 등락이 엇갈렸다.

프랑스 CAC40지수는 0.49% 상승한 5336.12에, 영국 FTSE100지수는 1.13% 오른 6654.8에 각각 마감했다. 반면 독일 DAX지수는 0.27% 하락해 1만1857.87로 장을 닫았다. 

연일 내리막을 걷던 국제유가는 주요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 기대감과 중앙은행들의 부양 전망 속에 7거래일 만에 큰 폭 반등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비 배럴당 4.5%(1.99달러) 뛴 46.75달러에 장을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5월물 브렌트유도 배럴당 4.43%(2.20달러) 상승한 51.87달러를 가리켰다. 

금값도 올랐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1.8%(28.10달러) 뛴 1594.80달러를 기록했다.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