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3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상반기 중 방한을 예정대로 추진하겠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지 않을 경우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또한 남북, 북·미관계의 선순환을 통해 남·북·미 대화 모멘텀을 재점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외교부는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아 지난달 28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면으로 보고한 '2020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외교부는 △실용적 투톱 정상외교 지속 추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견인 △주변 4국과의 확대협력 외교 전개 △중견국 교량외교 전개 △국민안전 증진 및 신흥안보 외교 전개 △융·복합 외교 전개 등 6대 핵심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코로나19 사태와 관련, 외교부는 외국 정부의 한국민 대상 과도한 입국 제한 조치를 완화하고 신규 제한 조치를 억제하기 위한 전방위적 외교 교섭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당분간은 코로나19 사태 극복에 모든 외교력을 집중할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지속될 경우 계획된 외교 일정에도 조정이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 가운데 상반기 중으로 예정된 시 주석의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당국자는 "일본 언론을 보면 4월로 추진되는 시 주석의 방일이 연기된다는 보도가 있었다"면서 "이번 사태가 빨리 극복되지 않으면 (시 주석의 방한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판단했다.
외교부는 또한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선순환을 통한 남·북·미 대화의 모멘텀을 재점화하겠다며 "남북관계 진전이 남북, 북·미 간 비핵화 대화로 연결될 수 있는 국제적 환경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에 '도발 자제, 대화 호응' 메시지를 지속해 발신하겠다"며 대화 여건 조성을 위한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 필요성에 대해 피력했다.
외교부는 또 "비핵화는 물론 남북, 북·미관계, 평화체제, '밝은 미래'를 함께 다뤄나가는 포괄적 협의를 꾸준히 추진하겠다. 유연하고 창의적인 구상을 통해 북·미 대화 촉진 등 우리의 능동적 역할을 확대할 것"이라면서 문 대통령이 제안한 'DMZ(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 구상' 등 우리 정부의 평화 구상 실현을 위해 필요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겠다고도 했다.
외교부는 또한 한·일관계와 관련, 역사·영토 문제에 대한 단호한 대응과 함께 경제·사회·문화·스포츠 등 실질협력 강화의 투트랙 접근을 복원하겠다고 제시했다.
문 대통령의 도쿄올림픽 참석 여부에 대해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도쿄올림픽은 아직 정부 내에서 어떻게 한다는 방침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개인적으로 평창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왔고 이웃에 그런 행사가 있으면 (정상이) 참석해서 축하하는 게 좋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또한 남북, 북·미관계의 선순환을 통해 남·북·미 대화 모멘텀을 재점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외교부는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아 지난달 28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면으로 보고한 '2020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외교부는 △실용적 투톱 정상외교 지속 추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견인 △주변 4국과의 확대협력 외교 전개 △중견국 교량외교 전개 △국민안전 증진 및 신흥안보 외교 전개 △융·복합 외교 전개 등 6대 핵심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당분간은 코로나19 사태 극복에 모든 외교력을 집중할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지속될 경우 계획된 외교 일정에도 조정이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 가운데 상반기 중으로 예정된 시 주석의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당국자는 "일본 언론을 보면 4월로 추진되는 시 주석의 방일이 연기된다는 보도가 있었다"면서 "이번 사태가 빨리 극복되지 않으면 (시 주석의 방한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판단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03/20200303115352832951.jpg)
외교부. [사진=외교부]
이어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에 '도발 자제, 대화 호응' 메시지를 지속해 발신하겠다"며 대화 여건 조성을 위한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 필요성에 대해 피력했다.
외교부는 또 "비핵화는 물론 남북, 북·미관계, 평화체제, '밝은 미래'를 함께 다뤄나가는 포괄적 협의를 꾸준히 추진하겠다. 유연하고 창의적인 구상을 통해 북·미 대화 촉진 등 우리의 능동적 역할을 확대할 것"이라면서 문 대통령이 제안한 'DMZ(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 구상' 등 우리 정부의 평화 구상 실현을 위해 필요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겠다고도 했다.
외교부는 또한 한·일관계와 관련, 역사·영토 문제에 대한 단호한 대응과 함께 경제·사회·문화·스포츠 등 실질협력 강화의 투트랙 접근을 복원하겠다고 제시했다.
문 대통령의 도쿄올림픽 참석 여부에 대해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도쿄올림픽은 아직 정부 내에서 어떻게 한다는 방침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개인적으로 평창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왔고 이웃에 그런 행사가 있으면 (정상이) 참석해서 축하하는 게 좋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동시에 외교부는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연내 방안을 추진,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획기적인 발전 계기를 마련하기로 했다.
고위당국자는 "(한·러 간 푸틴 대통령이) 금년 중 가급적 조기에 방한한다는 공감대는 있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03/20200303115502801290.jpg)
지난 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정치·외교·통일·안보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한국민 입국 금지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