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서울 시내 약국 30곳 돌아보니...공적 마스크 "단 한장도 못산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장윤정 한지연 기자
입력 2020-03-05 16:1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공적 마스크는 다 나갔어요. 없습니다."

서울 시내 약국에서 공적 마스크를 구할 수 있을까? 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당산, 영등포구청, 종로구 안국동, 인사동, 중구 무교동, 소공동 등에 위치한 약국 30여곳을 돌아본 결과 여전히 마스크 구하기는 ‘하늘의 별 따기’였다. 특히 마스크를 판매하는 시간이 들쭉날쭉하기 때문에 아무리 많은 약국을 돌아다닌다해도 마스크를 살 방법은 없었다. 
이미지 확대
[사진= 장윤정 기자 ]

[사진= 장윤정 기자 ]

이날 12시부터 오후 2시까지 서울 시내 주요 지역을 돌면서 공적 마스크를 구할 수 있는지 점검해봤다. 우선 영등포 당산역에서 영등포구청역까지 걸어가며 눈에 띄는 10여개의 약국에 들러 공적 마스크가 있는지 물어봤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모두 "다 팔렸다"였다. 단 한군데서 한장의 마스크도 구할 수 없었다. 당산역 부근의 B약국은 "매일 11시부터 2시 사이에 마스크가 배달된다. 도착되는 즉시 판매하는데 매일 들어오는 시간이 달라 언제 판다고 말씀드릴 수가 없다. 운 좋으면 살 수 있다"고 대답했다.

영등포구청으로 가는 길목에서 만난 E약국은 매일 오전 9시에 마스크를 판다고 써 붙여있었다. 최모 약사(59)는 "매일 마스크 있냐고 물어보는 분들 때문에 목이 쉬었다. 들어오는 시간이 늘 달라서 매번 다른 시간에 팔았더니 우리도 힘들고 손님도 힘들어서 전날 들어오는 물량을 비축해뒀다가 우리 약국은 매일 오전 9시에 일인당 딱 1매만 판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며 "우리 약국이 9시에 판매하는 걸 알고 매일 인근에서 오전 9시도 되기 전부터 약국 안에 들어와 기다리신다. 약국 내에서 혹시 감염이라도 일어날까 우려된다"고 걱정을 토로했다. 

이어 최 약사는 "솔직히 같은 분이 두 번 줄서서 받아가셔도 잘 모른다. 너무 많은 사람이 몰려 정신이 없어 직원들이 이름이랑 전화번호 써서 받는다 해도 같은 분이 다른 이름 대신다고 신분증 대조해볼 수도 없고 그냥 팔아야한다. 단골손님들은 내가 여기서 20년 넘게 팔아줬는데 왜 나한테 마스크를 안 주냐고 우기고 다들 예민해서 손님들 상대하기가 어렵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미지 확대
약국에서 마스크를 판매하며 이름과 서명을 받고 있다 [사진= 장윤정 기자]

약국에서 마스크를 판매하며 이름과 서명을 받고 있다 [사진= 장윤정 기자]

영등포구청에서 여의도로 넘어가봤다. 직장인들이 많은 지역이라 혹시 오후에 공적 마스크를 판매하고 있지 않을까 기대했지만 역시 여의도역 인근 10여개 약국에서도 공적 마스크는 없었다. 여의도역 앞 J약국은 "보통 9시 30분에 마스크가 배달되는데 간혹 오후 2시에 오기도 한다. 오는 즉시 판매하고 10분도 안돼서 끝난다. 마스크가 들어올지 안 들어올지도 모르는데 손님들이 오전부터 오셔서 마냥 기다리기도 한다"고 전했다. J약국 관계자는 "약국에 각종 의약품 관련 택배가 자주 오는데 손님들이 택배가 들어오는 것만 보면 마스크가 아니냐며 들어오셔서 마스크 달라고 하신다. 직장인들이 사는 건 어림도 없다. 근무가 끝난 오후에 약국에 와서 공적 마스크를 구한다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라고 설명했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그 사이에도 대여섯명의 손님들이 "마스크 없냐"고 물어보고 간다. 약사는 "시중에 손소독제만 조금 물량이 풀려서 살 수 있다. 체온계, 소독용 에탄올 등은 구할 수 없다. 마스크, 체온계, 에탄올, 손소독제가 요즘 가장 손님들이 많이 찾으시는 물건"이라고 귀띔했다. 

종로구 쪽으로 넘어가봤다. 이쪽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안국동에 위치한 제법 큰 규모의 A약국 관계자는 “공적 물량이 풀린 첫날에만 50장이 들어왔고 오늘은 입고되지 않았다”면서 “내일 들어올지도 아직 모르겠다”고 말했다. 맞은편에 위치한 C약국 약사 역시 “어제에 이어 오늘도 마스크가 들어오지 않았다”면서 “면 마스크만 한 장 남아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사진= 장윤정 기자 ]

[사진= 장윤정 기자 ]

인사동 C약국 관계자는 “2일(월요일) 100장이 들어온 뒤 3일 30장으로 확 줄더니 어제부터는 마스크의 ‘마’자도 구경하지 못했다”면서 “오전부터 마스크 찾는 손님만 10명이 넘게 왔는데 이제 아주 귀찮을 지경”이라고 말했다. 무교동 인근의 D약국 관계자는 “정부가 푼 1000원대 마스크는 워낙 소량이라 구하기 어렵다”면서 “아침에 들어온 3000원짜리 마스크 100피스도 반나절 만에 다 팔고 지금 3피스 정도 남아있다”고 말했다.

시중에서 마스크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도심 외곽 대형마트에서 대량 구매하려는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코스트코 일산점에서는 전일 오후 9시부터 이날 새벽 2시까지 700여명의 시민이 마스크 구매를 위해 건물 주변에 250m가량 줄을 서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용인 코스트코 공세점 역시 영업이 끝나기 전인 4일 오후 8시부터 시민들의 줄서기가 시작돼 오후 10시께는 100여명으로 숫자가 늘었다. 공세점 측은 이날 오전 3시부터 번호표를 발급해 입고된 500여 박스를 판매했다.

일산에 거주하는 안모씨(35)는 "대형마트에서는 30장이 들어있는 마스크를 1박스 살 수 있기 때문에 약국이나 농협 등에서 낱장으로 구매하는 것보다 낫다“면서 "하루만 고생하면 온 가족의 마스크를 챙겨줄 수 있기 때문에 추위에 하루쯤 떠는 것은 괜찮다”고 말했다.

이렇게 서울 시내 약 30군데 약국을 돌아다녔지만 결국 마스크를 구할 수는 없었다. 최모 약사의 말이 뇌리에 남는다. "우리가 좀 고생하는 것은 괜찮다. 하지만 공정성이 문제다. 정부가 일정한 기준을 세워줬으면 좋겠다. 마스크 택배가 전국 약국에 들어오는 시간은 몇시니 몇시부터 마스크를 사라고 정해주는 등 기준이 있었으면 좋겠다. 공적 마스크는 책임감을 가져야하지 않겠나."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디지털캠프광고로고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