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영상캡쳐] 대구종합복지회관 내 임내아파트에서 지금까지 46명의 확진자가 발생해 코호트 격리 됐다.
이에 앞서 청도 대남병원 정신병동이 코호트 격리됐으며, 경북도에서는 노인·장애인·정신보건, 아동양육 시설 581곳에 대해서 예방적 차원의 코호트 격리가 단행됐으나 아파트는 처음이다.
코호트 격리(Cohort Isolation)는 특정질병이나 감영확진자가 발생한 시설에서 같이 노출된 사람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 통째로 봉쇄하는 조치이다.
7일 대구시에 따르면 달서구 대구종합복지회관 내 임내아파트에서 지금까지 46명의 확진자가 발생해 코호트 격리 됐다.

[사진=연합뉴스 영상캡쳐]
보건 당국은 지난 4일 확진자 거주지 분포도를 분석하던 중 확진자 24명이 같은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실을 파악하고, 역학조사를 진행하던 중 이 아파트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따라 시는 6일 해당 임대아파트 주민들을 대상으로 출입을 통제하며 택배, 배달 등도 통제한다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한편 지난달 24일부터 부산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동일집단격리(코호트) 조치된 부산 아시아드요양병원(총 315명)은 7일 0시부터 267명(환자 166명, 직원 101명)에 대한 격리가 해제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