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코로나19 상황을 악용한 사이버 공격 확산 우려에 대비해 사이버 공격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전 금융회사에 보안 유의사항을 신속 전파할 방침이다.
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 관련 금융회사의 재택근무가 확대되고 인터넷·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금융거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민의 불안감을 악용한 해커들의 사이버 공격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가령 코로나19 이슈를 이용해 ‘마스크 무료 배포’, ‘코로나로 인한 배송지연’ 등 내용으로 문자메시지를 발송한 후 취약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악성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하는 것이다.
또 악성코드가 포함된 이메일을 불특정 다수 기업에 유포하거나 질병관리본부를 사칭한 이메일을 보내 특정 사이트 접속을 유도한다.
특정 해킹그룹이 회사직원을 사칭해 ‘코로나 바이러스 대응’을 주제로 악성코드를 포함한 이메일을 발송한 경우도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달 7일 코로나19 관련 사이버 공격 유의사항을 금융회사에 전파했고, 금융회사가 재택근무를 할 경우에도 금융보안대책을 수립하도록 조치했다.
지난 2일에는 사이버 공격 외에 보이스피싱 모니터링·대응체계를 강화하고, 대국민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앞으로 금융회사와 전자금융업자는 보안 유의사항을 숙지해 해킹·정보유출 등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보안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국민들도 피해예방 수칙을 적극 참고해 해킹 등으로부터 재산을 보호하고 소중한 개인정보를 지키길 바란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앞으로 사이버 공격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전 금융회사에 보안 유의사항을 신속 전파하는 등 철저히 대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과 같은 비상상황뿐만 아니라 금융회사의 근무환경 변화에 맞춰 금융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금융보안 체계를 전반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 관련 금융회사의 재택근무가 확대되고 인터넷·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금융거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민의 불안감을 악용한 해커들의 사이버 공격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가령 코로나19 이슈를 이용해 ‘마스크 무료 배포’, ‘코로나로 인한 배송지연’ 등 내용으로 문자메시지를 발송한 후 취약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악성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하는 것이다.
또 악성코드가 포함된 이메일을 불특정 다수 기업에 유포하거나 질병관리본부를 사칭한 이메일을 보내 특정 사이트 접속을 유도한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달 7일 코로나19 관련 사이버 공격 유의사항을 금융회사에 전파했고, 금융회사가 재택근무를 할 경우에도 금융보안대책을 수립하도록 조치했다.
지난 2일에는 사이버 공격 외에 보이스피싱 모니터링·대응체계를 강화하고, 대국민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앞으로 금융회사와 전자금융업자는 보안 유의사항을 숙지해 해킹·정보유출 등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보안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국민들도 피해예방 수칙을 적극 참고해 해킹 등으로부터 재산을 보호하고 소중한 개인정보를 지키길 바란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앞으로 사이버 공격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전 금융회사에 보안 유의사항을 신속 전파하는 등 철저히 대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과 같은 비상상황뿐만 아니라 금융회사의 근무환경 변화에 맞춰 금융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금융보안 체계를 전반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