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이용자 만족도' 10년 만에 50점->76점

일반국도 이용자 만족도 추이[사진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도로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 결과 재작년(74점)보다 지난해(76점) 점수가 소폭 높게 나왔다고 11일 밝혔다.

조사를 처음 시작한 해인 2000년에는 만족도가 50점 수준이었으나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운영 중인 도로에 대한 관리체계의 전문화·정보화 및 관련 예산의 증가 등이 주요 요인이라는 관측이다.

지난해 조사결과에 따르면 도로이용자들은 도로의 안전성과 교통소통 원활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수준으로는 환경·쾌적성(83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교통정보제공(81점)도 다소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졸음쉼터 등 편의시설 운영 및 도로 청소상태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다.

도로관리청별로는 전국 18개 국토관리소 중에서 보은(86점), 정선(83점), 진주(83점), 지자체는 충북(76점), 경기(70점) 등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개선 필요사항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었는데, 주요 내용은 도로포장불량(도로파임, 균열 등), 흐릿한 차선도색, 겨울철 도로결빙, 졸음쉼터 시설부족 등이었다.

도로이용자 만족도 조사는 일반국도(전국 약 1.4만km)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인기관(한국생산성본부)에서 국가고객 서비스지표(NCSI·공공서비스 만족도 조사 시 주로 적용하는 통계 모델)를 적용해 매년 진행하는 조사다.

주요 조사분야는 △안전성 △교통정보 △원활성 △환경·쾌적 △전반적 만족도 등이다.

조사 결과는 도로 서비스 중 미흡한 분야를 파악하고 도로유지보수예산의 효율적 투자방안을 마련하는 데 쓰인다.

김용석 국토부 도로국장은 “개선필요 사항 등 이번에 조사된 결과를 정책현장에 반영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