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수도권 강타로 긴장…전문가 “또 다른 집단감염 발생 가능”

  • 구로구 콜센터 집단감염 발생…대비책 마련 필요

[사진=연합뉴스]

서울 구로구 콜센터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수도권을 강타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의료기관 포함 다중이용시설 내 집단감염을 위험요인으로 판단하고 관리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두고 심각성에 대해서는 견해 차이를 보였으나, 또 다른 집단감염을 막기 위한 하나의 표본이 돼야 한다는 점에는 공감했다.

신형식 대한감염학회 자문위원(감염내과 전문의)은 “국가가 코로나19를 너무 안이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며 “이미 수도권은 대구·경북과 같은 패닉(panic) 상태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중국이 처음과 비교해 확진자가 크게 줄어든 이유는 강력한 조치를 했기 때문”이라며 “불편하더라도 ​노래방이나 PC방, 운동센터 등 다중이용시설을 당장 1~2주일 정도는 영업중지 조치하고, 필요하다면 통금시간까지 만들어 이동을 제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위원은 “마음 같아서는 낮에도 이동을 금지하도록 하고 싶으나 그렇게 할 수는 없으니 밤에는 최대한 이동을 제한하는 등의 강한 조치를 통해 감염의 위험성을 없애야 한다”며 “1~2주 정도 조치를 취한 뒤 상황을 보고 완화하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여기서 발생하는 피해는 정부가 보상방안을 마련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전병율 차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는  “콜센터와 같은 집단감염 사태는 앞으로도 또 나올 수 있어 미리 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구와 같이 경증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생활치료센터를 마련해 놓고, 마스크와 방호복 등의 물자를 충분히 확보해놔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구·경북과 같은 대규모의 감염사태가 한 번에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환자 재배치 등을 통해 중환자를 치료할 병상과 장비도 미리 확보해놓고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신속히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 교수는 다만 “오늘 확진 판정이 나오지 않아도 내일 나올 수 있는 것이 코로나19의 특징”이라며 “다중이용시설 영업중지 조치는 사실상 자영업자 생계 문제로 인해 정부가 강제하기는 어렵다고 본다”고 소신을 전했다.

안종주 한국사회정책연구원 사회안전소통센터장은 “콜센터와 같이 다닥다닥 붙어 일하는 근무환경은 변할 필요가 있다”며 “함께 근무하더라도 밀접접촉을 최소화하고, 위생수칙 생활화 등을 통해 위험성을 최대한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위험도에 따라 방역조치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시설에 대해 강화정책을 펼치는 것도 하나의 방역조치로 볼 수 있다”며 “언제, 어떤 위험일 경우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시나리오별로 정부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