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마비 상태에 이른 이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조속하고 적절한 지원을 촉구했다.
현근택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국회 정론관에서 한 현안 브리핑에서 "이 지역에 확진자의 83%, 사망자의 87%가 집중됐다는 사정을 감안하면 이번 신속한 결정은 시의적절하고 환영할 만한 일"이라고 밝혔다.
현 대변인은 또 "자연재해가 아니라 감염병으로 인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고, 향후 피해 상황에 따라서 추가 지정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며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 조속히 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래통합당도 환영의 뜻을 밝혔다.
심재철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늦었지만 환영한다"며 "무엇보다 죽어가는 경제를 살려야 한다. 권영진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요청하는 직접 지원이 직접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희경 통합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지금까지 지방자치단체의 노력과 시민의 자발적 극복 의지로 힘겹게 버티고 있었지만, 이제 한계에 다다른 시점에서 오늘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범정부적 지원의 확실한 물꼬가 트이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전 대변인은 "이제 가장 중요한 것은 고통에 빠진 대구·경북 시·도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실효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라며 "확진자, 격리대상자에 대한 지원과 고사 직전에 이른 자영업자,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이 적재적소에 이뤄져 대구·경북이 하루속히 안정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정현 민생당 대변인도 논평에서 "늦었지만 다행"이라며 "관계 당국은 무엇보다 신속하게 민생의 안정에 힘쓰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행정력을 총동원해야 할 것이다. 대구·경북 주민도 고립감에서 탈피해 힘내서 이 위기를 잘 극복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김종철 정의당 선거대책위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대구·경북의 위기는 단순히 두 지역만의 위기가 아니라 하나로 연결된 대한민국의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며 "정의당은 국회에서 대구·경북을 비롯해 국민을 위한 증액 추경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일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