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보, 중소·중견기업 수출 채권 현금화 위해 5000억 보증

  • 추경 500억 투입해 수출채권 보증 통한 긴급 유동성 확보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자금줄이 묶인 중소·중견 수출기업을 돕기 위해 5000억원 규모의 보증을 추가로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무역보험공사는 중소·중견 수출기업들이 수출채권을 즉시 현금화하도록 수출채권 조기현금화보증을 18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추가경정예산(추경) 500억원을 수출 채권 조기 현금화 지원에 투입하기로 했다. 이 보증 제도에 500억원 가량을 투입하면 5000억원 규모의 보증을 할 수 있다.

수출기업들은 상품을 수입기업에 보낸 후 수출채권을 받아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현금으로 바꾼다. 이때 금융기관들은 수입기업이 발행한 수출채권의 부실에 대비해 수출기업들에 무역보험공사와 같은 보증기관으로부터 보증서를 받아오도록 요구한다.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수출입 상황이 불투명해지자 금융사들은 수출채권의 매입도 꺼리고 보증서의 발급 수요도 늘었다. 중소·중견 수출기업의 수출대금 현금화가 어려워진 셈이다.

수출채권 조기현금화보증은 지난해 추경에서 처음 도입됐다. 최근 소재·부품·장비 지원센터와 무역협회 수요조사에서 많은 기업이 자금난을 호소하자 정부가 다시 추진했다. 수출채권 조기현금화가 가능하면 수입자의 파산과 상관없이 대금을 회수할 수 있고, 결제가 지연되더라도 은행에서 채권을 즉시 현금화해 제품 생산에 나설 수 있다.

홍남기 부총리는 "수출 중소·중견기업이 수출 후 채권을 즉시 현금화하도록 5000억원 규모의 수출채권 조기 현금화 보증을 확대 지원한다"며 "입국 제한 등에 대응해 온라인 수출 상담과 온라인 전시회를 활성화하고 코트라(KOTRA) 무역관을 통해 수출기업의 해외 마케팅 긴급 대행도 신속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출채권 조기현금화보증 구조도[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