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은 2018년부터 악화된 실정공시를 두고 여론의 십자포화를 맞고 있다. 이 배경에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에너지 생산단가 상승이 지목되는 상황이다.
한전은 2016년 7조1483억원, 2017년 1조4414억원의 순이익을 냈지만 2018년에 1조1745억원 순손실로 돌아섰다. 이어 지난해에는 2조224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내며 전년대비 1조1486억원 더 늘었다.
한전의 재무상태가 점차 악화되면서 전기료 인상 이야기도 나온다. 한전은 전기료 인상에 관해 꾸준히 검토 중이지만 산업계의 경쟁력 등 다양한 사안을 두고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두산중공업도 실적 악화로 휴업 카드를 꺼내 들며 주목받고 있다. 공문에 명시된 사유는 “글로벌 발전시장 침체와 외부 환경 변화로 경영실적이 여러 해 동안 악화했고, 특히 정부의 7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있던 원자력·석탄화력 발전 프로젝트 취소로 약 10조원 규모의 수주물량이 증발해 경영위기가 가속화했다”고 알려졌다.
다만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탈원전 정책과 연관성을 일축했다. 그 근거로 탈원전에 대한 매출감소가 아니라 석탄화력 발주 감소 때문이라고 제시했다. 또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으로 다른 글로벌 발전업체들도 같은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에너지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에교협)'은 18일 성명서를 통해 "산업부의 탈원전 정책이 관련 기업의 경영악화 원인"이라고 지적하는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