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30년까지 현재 전력수급의 30%를 차지하는 원전을 18%로 낮추는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번에 원전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수명이 만료된 원전을 하나씩 폐기해 나가는 게 목표다. 이어 부족한 전력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높여서 채우겠다는 계산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 LNG(액화천연가스)는 37%로 높이는 게 앞으로의 방향이다.
최근에는 지난 2017년 건설을 중단한 원전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관련으로 갈등도 커지는 분위기다. 18일 '에너지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에교협)'에서 성명서를 내고 정부의 탈원정 정책을 비판하기도 했다.
정부는 신한울 3·4호기 건설계획 취소 등은 결정된 정책 방향이라고 못을 박으면서도 원전 중소기업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보완대책을 수립·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또 단기적으로는 안전투자 확대, 해체 조기발주 등을 통한 일감제공 및 금융·인증비용 지원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까지 집계된 원전 보완대책 투입비용은 3900억원 가량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원전 후행주기·방사선·핵융합 등 대체 유망시장 창출과 함께 원전기업들의 사업전환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