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전 유럽으로 확산하면서 유럽의 자동차 제조사들이 공장을 줄줄이 폐쇄하고 생산량을 줄이고 있다.
이탈리아 피아트와 미국 크라이슬러의 합작업체인 피아트크라이슬러(FCA)는 1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내 FCA 및 마세라티 생산공장 6곳의 조업을 오는 27일까지 중단한다고 밝혔다. 세르비아와 폴란드 공장 역시 문을 닫는다.
FCA는 성명에서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시장의 수요가 줄어든 데 따른 공급 조절이라고 설명했다. FCA는 크라이슬러, 피아트, 마세라티, 지프, 닷지, 램, 란치아, 알파 로메오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업체다. 최근 프랑스 푸조시트로앵(PSA)과의 합병 계약을 성사시켜 세계 4위권 자동차 메이커로 도약했다.
마세라티 등 고급브랜드에 브레이크를 납품하는 브렘보도 이탈리아 공장 네 곳의 문을 닫기로 했다.
앞서 럭셔리카 메이커 페라리도 지난 14일 코로나19로 부품 조달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면서 오는 27일까지 이탈리아 내 2개 공장을 폐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18일 오전 기준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3만1506명, 누적 사망자 수는 2503명에 이른다. 바이러스 발원지인 중국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피해 규모가 가장 크다.
푸조, 시트로엥, 오펠, 복스홀 등의 브랜드를 거느린 프랑스 최대 자동차 제조사 PSA도 유럽의 공장들을 일단 27일까지 폐쇄하기로 했다.
이탈리아 다음으로 유럽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한 스페인에서는 이미 지난주 르노·닛산 연합의 공장과 폭스바겐의 스페인 브랜드인 세아트 공장이 수일 또는 수주간의 공장폐쇄를 결정한 바 있다.
아우디의 벨기에 브뤼셀 공장에서도 직원들이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조업을 거부해 생산라인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체코에 소재한 폭스바겐 스코다 공장과 현대자동차 공장 노조도 14일간의 조업중단과 방역을 요구했다고 체코 CTK통신이 보도했다.
폭스바겐의 포르투갈 리스본 공장도 생산량을 16% 감축한다고 발표했다. 폭스바겐 측은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따라 리스본의 아우토에우로파 공장의 하루 생산량을 기존 890대에서 744대로 줄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럽에서 본격화한 코로나19 사태는 이미 글로벌 수요 감소와 강화된 환경규제로 고전해온 유럽 자동차 업체들에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이탈리아 피아트와 미국 크라이슬러의 합작업체인 피아트크라이슬러(FCA)는 1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내 FCA 및 마세라티 생산공장 6곳의 조업을 오는 27일까지 중단한다고 밝혔다. 세르비아와 폴란드 공장 역시 문을 닫는다.
FCA는 성명에서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시장의 수요가 줄어든 데 따른 공급 조절이라고 설명했다. FCA는 크라이슬러, 피아트, 마세라티, 지프, 닷지, 램, 란치아, 알파 로메오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업체다. 최근 프랑스 푸조시트로앵(PSA)과의 합병 계약을 성사시켜 세계 4위권 자동차 메이커로 도약했다.
마세라티 등 고급브랜드에 브레이크를 납품하는 브렘보도 이탈리아 공장 네 곳의 문을 닫기로 했다.
18일 오전 기준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3만1506명, 누적 사망자 수는 2503명에 이른다. 바이러스 발원지인 중국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피해 규모가 가장 크다.
푸조, 시트로엥, 오펠, 복스홀 등의 브랜드를 거느린 프랑스 최대 자동차 제조사 PSA도 유럽의 공장들을 일단 27일까지 폐쇄하기로 했다.
이탈리아 다음으로 유럽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한 스페인에서는 이미 지난주 르노·닛산 연합의 공장과 폭스바겐의 스페인 브랜드인 세아트 공장이 수일 또는 수주간의 공장폐쇄를 결정한 바 있다.
아우디의 벨기에 브뤼셀 공장에서도 직원들이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조업을 거부해 생산라인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체코에 소재한 폭스바겐 스코다 공장과 현대자동차 공장 노조도 14일간의 조업중단과 방역을 요구했다고 체코 CTK통신이 보도했다.
폭스바겐의 포르투갈 리스본 공장도 생산량을 16% 감축한다고 발표했다. 폭스바겐 측은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따라 리스본의 아우토에우로파 공장의 하루 생산량을 기존 890대에서 744대로 줄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럽에서 본격화한 코로나19 사태는 이미 글로벌 수요 감소와 강화된 환경규제로 고전해온 유럽 자동차 업체들에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