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올해 반도체 시장이 최대 12% 역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IDC는 최근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망에 코로나19가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4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 중 최악의 경우는 글로벌 반도체 매출이 지난해와 비교해 12% 이상 급감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반대로 공급망과 수요가 빠르게 회복될 때는 작년 대비 6%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작년 대비 6% 역성장'으로 확률이 54%였다. 이 경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258억 달러(약 33조원) 줄어들게 된다. IDC는 "이 시나리오대로라면 오는 여름 공급망이 복구되고 격리 및 이동금지 명령 등이 해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망 회복에 3∼9개월이 소요되고 경기·수요 위축이 3∼9개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4가지 시나리오를 종합하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역성장할 확률은 80%에 달하고 성장 가능성은 20%에 불과하다. 다만 IDC는 "글로벌 코로나19 위기는 시작에 불과해 당장 하나의 시나리오를 추리기에는 변수가 너무 많다"고 강조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IDC는 최근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망에 코로나19가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4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 중 최악의 경우는 글로벌 반도체 매출이 지난해와 비교해 12% 이상 급감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반대로 공급망과 수요가 빠르게 회복될 때는 작년 대비 6%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작년 대비 6% 역성장'으로 확률이 54%였다. 이 경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258억 달러(약 33조원) 줄어들게 된다. IDC는 "이 시나리오대로라면 오는 여름 공급망이 복구되고 격리 및 이동금지 명령 등이 해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망 회복에 3∼9개월이 소요되고 경기·수요 위축이 3∼9개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