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시행했던 한국과 중국에서의 입국 제한 조치를 연장을 검토한다.
일본 매체 요미우리신문은 20일 일본 정부가 이달 말까지 예정했던 한국과 중국에서의 입국 제한 조치 연장 방안을 최종 단계에서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요미우리에 의하면 일본 정부는 연장 기간을 2주나 1개월 정도로 검토 중이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방역 정책의 핵심으로 ‘미즈기와’ 카드를 꺼냈다. ‘미즈기와’란 해외 감염원이 공항이나 항만을 통해 국내에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 5일 아베 신조 총리 주재로 열린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한국과 중국에 대한 입국 제한 정책을 확정하고 9일부터 시행했다.
일본 정부는 무비자 입국을 허락하지 않고 이미 발행한 비자 효력도 정지했다. 또한, 일본인을 포함해 한국이나 중국에서 일본으로 들어오는 모든 사람은 호텔이나 자택 등 일정 장소에서 2주간 자율 격리하고 이동 시 대중교통 이용을 피해야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들어오는 항공편은 수도권 나리타 공항과 서일본 지역 오사카 간사이 공항 등 2곳으로 한정했다. 이 영향으로 지난 9일부터 1주일간 항공편은 전주보다 절반 정도 줄었다. 한국 연결편은 95% 감소했다.
일본 매체 요미우리신문은 20일 일본 정부가 이달 말까지 예정했던 한국과 중국에서의 입국 제한 조치 연장 방안을 최종 단계에서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요미우리에 의하면 일본 정부는 연장 기간을 2주나 1개월 정도로 검토 중이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방역 정책의 핵심으로 ‘미즈기와’ 카드를 꺼냈다. ‘미즈기와’란 해외 감염원이 공항이나 항만을 통해 국내에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다.
일본 정부는 무비자 입국을 허락하지 않고 이미 발행한 비자 효력도 정지했다. 또한, 일본인을 포함해 한국이나 중국에서 일본으로 들어오는 모든 사람은 호텔이나 자택 등 일정 장소에서 2주간 자율 격리하고 이동 시 대중교통 이용을 피해야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들어오는 항공편은 수도권 나리타 공항과 서일본 지역 오사카 간사이 공항 등 2곳으로 한정했다. 이 영향으로 지난 9일부터 1주일간 항공편은 전주보다 절반 정도 줄었다. 한국 연결편은 95% 감소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