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한국을 포함한 9개국 중앙은행과 ‘통화스와프’ 체결 사실을 발표했다.
통화스와프란 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에 따라 필요한 만큼 돈을 교환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최초 계약 때 합의한 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는 거래다.
미국과의 계약에 따라 한국은행은 총 9개 국가와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게 됐다. 규모는 1932억 달러 이상이다.
2017년 11월 캐나다와 맺은 통화스와프는 규모에 대한 사전 한도와 만기가 없는 상설계약이다. 당시 한국은행은 “캐나다가 미국, 유럽 등 6개 주요 기축통화국들 간 한도가 없는 무기한 통화스와프를 맺고 있는 효과를 간접적으로 누릴 수 있다”며 “(경제)위기 발생 시 활용 가능한 강력한 외환 부문 안전핀”이다고 설명했다.
미국과의 계약 이전에 체결된 가장 최근 계약은 지난해 4월 이뤄진 아랍에미리트(UAE)중앙은행과의 통화스와프다. 당초 한국은행은 2013년 10월 UAE와 계약을 체결했으나 양국간 법, 제도 등의 차이로 합의가 지연돼 2016년 10월 만료됐었다. 재계약 규모는 54억 달러로 이전과 같다.
한국은 CMIM(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과도 다자간 통화스와프를 맺었다. CMIM은 2010년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에 한국, 중국, 일본을 추가해 13개국이 달러 유동성 지원과 역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맺은 협정이다. CMIM 총 규모는 2400억 달러로, 한국은 16%인 384억 달러까지 수혜 가능하다. 만기는 없다.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규모는 600억 달러다. 역대 가장 큰 규모다. 계약 기간은 최소 6개월이다. 한국은행은 “이번 계약은 상설 계약으로 최근 급격히 악화된 글로벌 달러 자금시장의 경색 해소가 목적”이라며 “조달한 미 달러화를 곧바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달러화 수급 불균형으로 환율 급상승을 보이고 있는 국내 외환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연준은 한국 이외에도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호주, 뉴질랜드, 브라질 멕시코 중앙은행 및 싱가포르 통화청과도 동시에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
통화스와프란 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에 따라 필요한 만큼 돈을 교환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최초 계약 때 합의한 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는 거래다.

[사진=한국은행]
미국과의 계약에 따라 한국은행은 총 9개 국가와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게 됐다. 규모는 1932억 달러 이상이다.
2017년 11월 캐나다와 맺은 통화스와프는 규모에 대한 사전 한도와 만기가 없는 상설계약이다. 당시 한국은행은 “캐나다가 미국, 유럽 등 6개 주요 기축통화국들 간 한도가 없는 무기한 통화스와프를 맺고 있는 효과를 간접적으로 누릴 수 있다”며 “(경제)위기 발생 시 활용 가능한 강력한 외환 부문 안전핀”이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CMIM(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과도 다자간 통화스와프를 맺었다. CMIM은 2010년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에 한국, 중국, 일본을 추가해 13개국이 달러 유동성 지원과 역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맺은 협정이다. CMIM 총 규모는 2400억 달러로, 한국은 16%인 384억 달러까지 수혜 가능하다. 만기는 없다.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규모는 600억 달러다. 역대 가장 큰 규모다. 계약 기간은 최소 6개월이다. 한국은행은 “이번 계약은 상설 계약으로 최근 급격히 악화된 글로벌 달러 자금시장의 경색 해소가 목적”이라며 “조달한 미 달러화를 곧바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달러화 수급 불균형으로 환율 급상승을 보이고 있는 국내 외환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연준은 한국 이외에도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호주, 뉴질랜드, 브라질 멕시코 중앙은행 및 싱가포르 통화청과도 동시에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