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아들인 준용씨가 20일 자신을 향해 일부 언론보도를 향해 “왜 남의 실력을 의심하느냐”고 재차 비판했다.
문씨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당하게 평가해 달라. 미술 작가에게 국공립미술관에서 일하지 말라는 건 운동 선수에게 국가대표 선발전에 나가지 말라는 것과 같다”며 이같이 적었다.
문씨는 “한 매체의 기사에서는 국공립 미술관을 지자체 산하기관이라고 표현했다”며 “작가가 미술관과 계약했다는 건 자연스러운데, 대통령 아들이 산하기관과 계약했다는 건 이상하게 읽힌다. 일부러 저렇게 쓴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문씨가 거론한 기사는 월간조선 보도를 말한다. 미디어 아티스트로서 활동 중인 자신과 부인 장지은씨가 2018∼2019년 고양어린이박물관으로부터 2년에 걸쳐 4건의 전시·제작 프로젝트를 수주했다는 내용이다.
관련 회사가 수령한 금액을 포함해 4건 전체의 계약 액수는 약 4300만원으로, 구체적 내용은 추후 보도한다는 설명도 실려 있다.
문씨는 “국립, 시립, 도립 미술관들 당연히 산하 기관 아닌 곳은 없다”면서 “아무나 이런 곳들에 전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뽑혀야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런 전시나 작품 판매는 작가에게 중요한 업적이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저는 현 정부 이전인 2016년까지 국공립 18회, 국제 전시 10회의 전시 경력을 이미 쌓았다”면서 “작가 데뷔 후 신인으로 6년간 한 것 치곤 많이 한 것이고, 자랑스러운 기록”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정도면 국공립 전시든 지자체든 제가 계약할 자격은 충분하다”고 반박했다.
앞서 문씨는 지난 16일에도 페이스북에 “우리 가족이 미끼 상품인 건 잘 아는데 이런 식으로 예고편까지 쓰고 그러느냐”며 해당 기사를 링크한 바 있다.
문씨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당하게 평가해 달라. 미술 작가에게 국공립미술관에서 일하지 말라는 건 운동 선수에게 국가대표 선발전에 나가지 말라는 것과 같다”며 이같이 적었다.
문씨는 “한 매체의 기사에서는 국공립 미술관을 지자체 산하기관이라고 표현했다”며 “작가가 미술관과 계약했다는 건 자연스러운데, 대통령 아들이 산하기관과 계약했다는 건 이상하게 읽힌다. 일부러 저렇게 쓴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문씨가 거론한 기사는 월간조선 보도를 말한다. 미디어 아티스트로서 활동 중인 자신과 부인 장지은씨가 2018∼2019년 고양어린이박물관으로부터 2년에 걸쳐 4건의 전시·제작 프로젝트를 수주했다는 내용이다.
문씨는 “국립, 시립, 도립 미술관들 당연히 산하 기관 아닌 곳은 없다”면서 “아무나 이런 곳들에 전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뽑혀야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런 전시나 작품 판매는 작가에게 중요한 업적이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저는 현 정부 이전인 2016년까지 국공립 18회, 국제 전시 10회의 전시 경력을 이미 쌓았다”면서 “작가 데뷔 후 신인으로 6년간 한 것 치곤 많이 한 것이고, 자랑스러운 기록”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정도면 국공립 전시든 지자체든 제가 계약할 자격은 충분하다”고 반박했다.

[문준용씨 페이스북 캡처]
앞서 문씨는 지난 16일에도 페이스북에 “우리 가족이 미끼 상품인 건 잘 아는데 이런 식으로 예고편까지 쓰고 그러느냐”며 해당 기사를 링크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